봄철 장기연휴인 ‘골든위크’가 끝난 뒤 첫날인 7일 일본 도쿄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쓰고 출근하고 있다. 도쿄/AP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으로 공고한 듯 보였던 일본의 의료-행정 시스템의 균열이 도드라지는 가운데, 일본 의료·검사 체제에 “불안을 느낀다”고 답한 일본인이 무려 68%에 이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마이니치신문>이 지난 6일 전국 유권자 1150명(응답자 비율)을 대상으로 전화 여론조사를 해보니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7일 보도했다. “불안을 느끼지 않는다”고 답한 이는 14%에 그쳤다. 신문은 “코로나19 검사 건수가 좀처럼 늘지 않고 의료 붕괴 우려까지 있어, 감염돼도 충분한 검사와 치료를 받을 수 없을 것이라는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고 짚었다.
아베 신조 정부가 일본 전역에 선포한 긴급사태를 이달 말까지 연장한 것에 대해서는 66%가 “타당하다”고 답했고, “일부 지역에 한정했어야 한다”는 25%에 그쳤다. 감염 확산에 대한 두려움이 그만큼 크다는 뜻이다. 아베 내각 지지율은 40%로 지난달 조사 때보다 또다시 4%포인트 하락했다. 지지율과 지지하지 않는 비율(45%)이 역전됐다.
아베 총리는 6일 저녁 인터넷 방송에 출연해 “타액을 이용한 (코로나19) 검사도 미국 일부에서 실용화되었고 일본에서도 정확도 등을 연구하고 있다”며 “여러 수단을 사용해 감염 실태를 제대로 파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내 코로나19 검사 부족에 대한 비판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아베 정부의 ‘대책 없는’ 긴급사태 연장을 두고 지방자치단체의 불만이 터져나오면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거친 설전도 노골화되고 있다.
요시무라 히로후미 오사카 지사는 5일 음식점 등 휴업 요청 해제를 위한 오사카부의 독자적 기준을 발표하면서 “정부가 구체적인 기준도 제시하지 않으면서, 단순히 (선언을) 연장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발언했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재생상은 다음날 기자회견 때 “강한 위화감을 느낀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는 “업소 휴업 요청 자체는 광역지자체장인 지사의 권한이며 설명 책임도 지사에게 있다”고 트위터에도 같은 취지의 글을 올렸다. 요시무라 지사는 다시 트위터에 “앞으로 발언을 주의하겠다”면서도 “(긴급사태) 선언이 모든 것의 토대이므로 연장한다면 출구전략도 제시해주었으면 한다”고 응수했다. 아베 총리는 오는 14일 전문가 의견을 들은 뒤 가능하다면 긴급사태를 조기 해제할 의향도 있다고 밝혔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