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일본 도쿄의 관광지인 센소지 부근에서 사람들이 마스크를 쓰고 걸어가고 있다. 도쿄/EPA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막으려 시행하고 있는 입국제한 조처를 한국 등 일부 국가에 한해 부분적으로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니치신문>은 18일 “일본 정부가 비즈니스와 연국 목적에 한해 한국과 중국, 미국 등 국가의 입국 제한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과 입국제한 대상 국가의 코로나19 감염 상황을 지켜보며 최종적으로 판단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일본 내 코로나19 감염이 가파르게 확산되자, 지난달 1일 한국·중국·미국 등 49개 국가와 지역의 전역(총 73곳)을 대상으로 입국 거부를 시행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27일 입국 거부를 포함한 입국제한 기간을 이달 말까지로 연장한 바 있다.
최근 일본 내 확진자 숫자가 줄면서 내부적으로 중국 등과 사업 목적의 왕래는 허용해달라는 목소리가 강하게 나오고 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이 신문에 “출입국 제한 완화를 검토하는 국가가 늘고 있다. 일본도 여러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입국제한 완화 검토 의사를 밝혔다. 신문은 “일본 정부가 우선 비즈니스와 연구 등 긴급성이 높은 분야에 한정해 입국을 허용하고, 대상 국가와 지역도 감염 상황과 일본 및 상대국 기업의 수요를 감안해 최대 10개국 정도로 압축할 생각”이라고 전했다.
17일 일본 내 감염 확진자 숫자는 27명이었다. 오사카부에서는 이날 확진자 숫자가 0명으로 3월9일 이후 처음으로 확진자가 보고되지 않았다. 일본 정부는 긴급사태가 발효 중인 도쿄와 오사카 등 8개 광역자치단체에 대해서도 오는 21일 긴급사태 해제를 검토할 전망이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