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쿄 국립경기장 주변에 설치된 올림픽 로고. 도쿄/AP 연합뉴스
일본 국민 44%는 올 7월 도쿄올림픽이 개최된다고 해도 ‘무관중’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는 3일부터 관중 문제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를 시작한다.
<요미우리신문>이 1월19일~2월25일 동안 우편 방식으로 여론조사(응답자 2231명)를 실시한 결과, 올림픽이 개최될 경우 관중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에 44%가 “관중을 들이지 않아야 한다”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관중을 최소한으로 제한해 경기를 해야 한다”는 응답도 47%나 됐다. 일본 국민들은 올림픽 경기를 직접 볼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더라도 코로나19 확산을 막아야 한다는 위기의식이 더 큰 것으로 풀이된다.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는 이날 정부, 도쿄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와 회의를 열고 관중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하시모토 세이코 도쿄올림픽조직위원장은 ‘무관중’ 개최에 대해 “현 시점에서 상정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도쿄올림픽 개최에 대해서도 여전히 부정적인 여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속 올림픽 개최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8%가 “감염 확산 우려가 있는 만큼, 개최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40%는 “감염 방지책을 철저히 하고 개최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편 도쿄올림픽조직위는 모리 요시로 전 위원장의 ‘여성 비하’ 발언의 발단이 된 여성 이사 비율을 42%까지 늘린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조직위는 이날 이사회와 평의원회를 열고 여성 이사 12명을 추가로 임명할 예정이다. 현재 조직위 이사 34명 중 여성은 7명(20%)에 불과한데, 이사 정원을 45명으로 늘린 뒤 여성 이사를 추가해 여성 비율을 42%(19명)로 끌어 올리는 것이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