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내 ‘위안부’ 연구의 최고 권위자로 꼽히는 요시미 요시아키 주오대 명예교수(왼쪽) 는 ‘위안부’를 매춘부로 규정한 마크 램자이어 하버드대 교수 논문에 대해 “학술논문으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온라인 세미나 갈무리
일본 내 ‘위안부’ 연구의 최고 권위자로 꼽히는 요시미 요시아키 주오대 명예교수는 ‘위안부’를 매춘부로 규정한 마크 램자이어 하버드대 교수 논문에 대해 “문제가 너무 많아 학술논문으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요시미 교수는 일본군 ‘위안부’ 학술 사이트를 운영하는 일본의 시민단체 ‘파이트 포 저스티스’(Fight for Justice)와 일본사연구회, 역사학연구회, 역사과학협의회, 역사교육자협의회 등 학술단체가 14일 공동 주최한 온라인 세미나에 참여해 램자이어 교수 논문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요시미 교수는 “램자이어 논문은 일본군이나 일본 정부가 ‘위안부’라는 성노예 제도를 만들고 유지했다는 중요한 사실을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업자는 군의 종속자로 위안소 요금조차 결정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위안부’ 여성들도 계약의 주체가 될 수 없었던 만큼, 계약이 있었다 하더라도 사실상 ‘인신매매’였다는 증거와 연구는 너무 많다고 했다. 이런 선행 연구가 있는데도 램자이어 교수는 업자와 ‘위안부’가 서로의 이해를 주장하며 계약을 맺었다고 주장한 것이다.
요시미 교수는 “램자이어가 논문에서 자신의 주장(위안부=매춘부)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단 하나도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그가 멋대로 꾸며낸 이야기도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무엇보다 ‘위안부’가 성노예제의 피해자였다는 중대한 인권침해를 무시하고 있다는 것은 치명적”이라고 밝혔다. 요시미 교수는 1992년 ‘위안부’ 제도를 만드는데 군과 정부가 깊숙이 관여했음을 보여주는 문서를 처음 찾아낸 인물이다. 이후 일본 정부가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1993년)를 발표하는 데도 영향을 줬다.
일본의 근대 공창 제도와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연구해 온 오노자와 아카네 릿쿄대 교수도 램자이어 논문에 대해 “학술논문으로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식민지와 일본군 점령지역에서 ‘위안부’로 모집된 여성은 대부분 일본군 또는 일본군의 지시를 받은 업자에 의해 폭력, 사기, 인신매매 등의 수단으로 모집됐다”고 강조했다. 세미나에는 차타니 사야카 싱가포르국립대 교수, 후지나가 다케시 오사카산업대 교수, 요네야마 리사 토론토대 교수 등도 참석해 램자이어 논문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