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석 ㅣ 기상청장
밈(meme)이라는 말이 있다. <이기적 유전자>를 쓴 영국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처음 사용한 용어다. 밈은 유전자처럼 사람들의 의식과 문화 속에서 선택, 모방, 변이, 복제되어 전파되는 현상이나 매개를 뜻한다. 도킨스는 그리스어 ‘모방’(mimesis)과 영어 ‘유전자’(gene)를 합성해서 이 단어를 만들었다.
이러한 밈은 세월에 따라 변화하면서 각 사회마다 ‘슈퍼밈’을 만들게 된다. 밈을 통해 만들어낸 오래된 믿음, 관습을 ‘슈퍼밈’이라고 일컫는다. 이러한 슈퍼밈은 너무 많은 지식이 넘쳐나고 시스템이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개인의 희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현상까지도 지적한다.
기후변화를 통한 ‘이상기후’는 이러한 ‘밈’과 ‘슈퍼밈’까지도 관통하며 우리 앞에 서 있다. 밈을 통해 문화를 향유하고 세대를 이어오며 전파한 무분별한 자원 사용은 결국 기후변화를 야기하고 만다. 이상기후가 나타나는 것을 보고 걱정하면서도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편리한 것들을 포기하지 못하는 ‘슈퍼밈’에 휩싸여 있는 것이다.
최근 언론에서 “기상관측 이래 최고”, “유례없는 기상이변”이라는 타이틀이 자주 눈에 띄었을 것이다. 이렇듯 매해 경신하는 다양한 기상기록들은 우리가 벼랑 끝에 놓여 있음을 확인시킨다. 특히 2018년 겪은 지독했던 폭염은 기후변화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보여주는 따끔한 예일 것이다.
이러한 이상기후는 원인과 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게다가 인명 피해와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피해를 주기 때문에 대응 방안 마련에 더욱 고심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서는 이상기후에 대한 기상정보가 우선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우리가 이상기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어떤 정보가 필요하고,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첫째로는 이상기후 발생 현황 정보가 필요하다. 어느 정도의 강도로 어느 지역에 발생했는지의 현황 정보로부터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알고 즉각적인 피해 대응을 해야 한다. 의사가 환자를 치료할 때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과 같다. 현재의 이상기후를 발생시킨 기후적 요인이나 원인을 찾아 분석하여, 앞으로 얼마나 지속될지, 그리고 또 발생할지 예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상기후 발생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을 평가하고 장기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확하고 상세한 예측 정보가 필요하다. 이상기후는 강도와 지속기간이 매번 다르고 그에 따라 영향이나 피해가 다르므로 사회 각 분야에서 사전에 대응을 준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밖에도 이상기후 발생 우려 시 사전에 재해대응 기술을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농작물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온열질환, 한랭질환과 같이 기온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질환의 예방 활동을 유도하여 국민의 건강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기후가 더 심해지고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우리는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 능력을 강화해나가야 한다. 시작은 기상청의 과학적 기술에 근거하여 제공하는 이상기후 기상정보이다. 대응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우리가 직면한 이상기후가 어떻게 발생했는지 직시해야 한다. 그리고 문제 해결을 위해 슈퍼밈에서 벗어나는 것과 기상청의 기상자료를 통해 우선 이상기후를 판단하는 것이 시작이다.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행동부터 시작한다면 이상기후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