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해ㅣ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세상이 케이크라면 말은 칼이다. 한국 사람들 눈에는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자르는 프랑스어가 마냥 신기할 뿐. 이유를 당최 모르겠거든. ‘기타’가 여성형인데, ‘우쿨렐레’는 남성형이라니! 이런 나라에서는 새로 생겨난 단어를 둘러싼 논쟁이 붙곤 한다. 작년엔 코로나를 뜻하는 ‘코비드19’로 시끄러웠다더라. 돌림병이 처음 확산되었을 땐 다들 남성형으로 썼는데, 프랑스의 국립국어원 격인 ‘아카데미 프랑세스’에서 갑자기 여성형으로 쓰라 한 것. 당연히 성차별적이라며 시끌시끌했겠지.
한국어는 명사를 남녀로 ‘반듯이’ 구분하지는 않지. 다만, 간헐적으로 하긴 한다. 세상을 남녀, 음양, 생사, 선악의 이분법으로 나누는 버릇을 어찌 피해 갈꼬. ‘여학생/남학생’, ‘암탉/수탉’처럼 접두사를 붙여 사람이나 동물을 남녀로 구분한다. ‘암술/수술, 암꽃/수꽃, 암나무/수나무’처럼 식물도 마찬가지.
출신 학교를 ‘모교’라 하고 자라면서 배운 말을 ‘모어’라 하듯이, 사물을 의인화하고 암수로 나누는 건 오래된 습성이다. 오목한지 튀어나왔는지 하는 생김새(요철凹凸)나 기능을 암수에 빗댄다. ‘암나사/수나사, 암키와/수키와, 암단추/수단추’가 그렇고, 전통 줄다리기에 쓰는 ‘암줄/수줄’이나, 꽹과리를 ‘암꽹과리(중쇠), 수꽹과리(상쇠)’로, 똥꼬에 나는 치질을 ‘암치질/수치질’로 나누는 건 다 그런 연유 때문이다. 옛사람들이 한글을 ‘암글’, 한자를 ‘수글’이라고 한 건 암수에 경중을 들씌운 것이고. 프랑스어만큼은 아니지만, 우리의 세계관도 말에 달아놓은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의 영향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