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붕어빵이 알려준다, 경제불황

등록 2022-12-20 10:07수정 2022-12-20 18:45

붕어빵과 경제불황. 김재욱 화백
붕어빵과 경제불황. 김재욱 화백

그 흔하던 붕어빵이 사라졌다. 겨울철 저렴한 간식으로 서민의 배를 채워주던 붕어빵인데….

붕어빵을 찾아 동네방네 헤매는 사람이 늘면서 구글 오픈 맵을 활용해 전국 1055개 붕어빵 노점 위치를 표시한 ‘대동풀빵여지도’(2018)가 만들어지더니, 최근엔 가까운 곳의 붕어빵 노점 위치를 알려주는 전용 앱 ‘가슴속3천원’까지 등장했다. 심지어 ‘붕세권’이란 유행어도 생겼다. 붕어빵 노점 인근에 사는 사람들은 ‘역세권’이나 ‘숲세권’처럼 집값이 높은 권역이 아니라도 겨울 만큼은 목에 힘 한 번 ‘빡’ 줄 수 있게 됐다. “나 붕세권 살아!”

이렇게 붕어빵의 몸값이 올라 ‘금’붕어빵이 된 까닭은 재료비 폭등 탓이다. 한국물가정보가 지난 14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붕어빵의 주재료는 5년 사이 평균 50% 가까이 뛰었다. 모든 게 오르는데 붕어빵값만 제자리걸음일 리가 만무하다. 고구마 크림·피자 소스·크림치즈·불닭 소스 등이 든 ‘특별한 놈’은 한 마리에 2천~3천원이나 하고, 팥으로 만든 ‘평범한 놈’도 두 마리에 천원이 기본이다. 4마리에 천원이던 5년 전에 견줘 두 배 이상 뛰었다. 더는 ‘가성비’로 경쟁하기 힘든 음식이 된 셈이다.

붕어빵은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일본의 타이야키(도미+불로 익힌 음식)가 전해진 것이 시초다. 타이야키가 이름대로 ‘도미’ 모양인 것과 달리 한반도에선 ‘붕어’로 현지화됐다. 이후 1950~60년대 미국의 원조로 밀가루가 대량 수입되면서 점차 늘다가 1980년대 크게 유행했다. 1981년 2월4일치 <매일경제신문>은 “손이 달려 미처 구워낼 틈이 없다”는 세종문화회관 인근 붕어빵 상인의 말을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붕어빵 전성기는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을 앞두고 진행된 정부의 ‘노점상 단속’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붕어빵이 서민 속으로 돌아온 것은 아이엠에프(IMF) 이후다. 1998년 12월2일치 <영남일보>엔 “불황으로 노점이 늘면서 대구 칠성시장 철물 상가 붕어빵 틀 판매 업소의 매출이 20% 늘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붕어빵에 ‘붕어’ 없고, 희망퇴직엔 ‘희망’ 없다”는 말이 회자하던 때다.

붕어빵 노점 숫자가 ‘불황의 지표’ 역할을 했던 것도 이젠 옛일이 됐다. 서민이 고물가와 경제침체에 신음하는데 붕어빵 노점 역시 사라지는 ‘역설’이 21세기 불황의 새 지표가 될 참이다.

유선희 산업팀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의 계엄 폭동’ 내란죄인 3가지 이유 1.

‘윤석열의 계엄 폭동’ 내란죄인 3가지 이유

가디언처럼 엑스를 떠나지 않는 이유 [뉴스룸에서] 2.

가디언처럼 엑스를 떠나지 않는 이유 [뉴스룸에서]

이성 잃은 비상계엄, 국민에 대한 반역이다 [사설] 3.

이성 잃은 비상계엄, 국민에 대한 반역이다 [사설]

윤 대통령, 즉각 사퇴하라 [사설] 4.

윤 대통령, 즉각 사퇴하라 [사설]

대한민국 안보 최대 리스크는 ‘윤석열’이다 5.

대한민국 안보 최대 리스크는 ‘윤석열’이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