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인 #이용마 문화방송 해직기자가 복막암 선고를 받은 것은 지난해 9월 초였다. 그를 진단한 의사는 “12~16개월 정도 살 수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제 암 투병을 한 지 1년이 다 돼 간다. 그동안 수술도, 항암치료도 받지 않고 오직 자연요법으로 견뎌내고 있다. 지난해 겨울 촛불시위 때 광화문 광장에서 이 기자를 만나 그 이야기를 들었을 때 ‘12개월 정도를 무사히 넘기면 살아날 수 있다’는 뜻으로 잘못 알아들었다. 그래서 이제 조금만 버티면 희망이 엿보이는구나, 조금만 잘 견뎌달라고 기원해왔다. 그런데 이번에 다시 확인해보니 꼭 그런 말은 아니었다. “의사의 말은 12~16개월 정도를 생존 연한으로 본다는 뜻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어요.” 여전히 그는 삶과 죽음의 아슬아슬한 경계선 위에 놓여 있다. 이 기자는 그동안 몸무게는 20㎏ 정도가 빠졌고, 복수도 계속 차오르고 있다. 상태가 악화하면서 한 달 전쯤부터는 아예 관을 몸에 차고 집에서 복수를 빼고 있다. 하지만 다행히도 암세포가 다른 곳으로 전이는 안 된 상태다. 그런데 이 기자는 그 대목에서도 담담하다. “정확히 말하면 그것 역시 의사들의 추정이에요.” 그는 마치 남의 말 하듯 말했다. 이 기자는 요즘 매일 새벽 1시간 정도씩 명상을 한다. ‘화두’ 같은 것은 없다. “그냥 무념무상이 되려고 해요. 그런데 그것이 쉽지 않네요. 온갖 잡념이 쉬지 않고 떠올라요.” 그에게 ‘삶과 죽음, 생명 등의 문제를 깊이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별로 하지 않아요. 모든 것이 운명이지요. 주변을 봐도 곧 죽을 것 같던 사람이 오래 살기도 하고, 오래오래 살 것 같던 사람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기도 하잖아요. 인명은 재천이라고 생각해요.” 놀라울 정도로 의연하고 담담한 모습을 보며 가슴 한쪽에 빗물이 흐른다. #김장겸 문화방송 사장 쪽에서는 얼마 전 국민의당 대표 경선을 앞두고 안철수 대표에게 ‘엠비시가 뭘 도와드릴 게 없느냐’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냈다고 한다. 안 대표는 이 문자에 응대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인이 결코 해서는 안 될 노골적인 정치개입이다. 하지만 ‘생명’에 대한 그의 집착 앞에서 그런 원칙론 따위는 무용지물이다. 그 생명은 고결한 생명이 아니다. 권력한테서 하사받은 문화방송 사장 생명이라는, 어찌 보면 더럽고 유치한 생명이다. 그의 사장 수명 유지 전략은 탄압받는 언론인, 핍박받는 방송인이라는 적반하장식 궤변이다. 자유한국당은 여기에 맞장구를 치는 최대의 조력자다. 김 사장이 자유한국당 정치인들, 특히 언론계 출신 국회의원들과 끈끈한 ‘특수관계’라는 것을 알 만한 사람들은 다 안다. 김 사장이 바른정당과 국민의당까지 손길을 뻗치는 것은 정치권의 우군을 확대해 방송법 개정안 국회 통과 등을 저지하고, 문화방송 정상화 문제를 ‘정쟁’으로 몰아가려는 가증스러운 의도다. 김 사장의 야심은 단지 현재의 문화방송 사장 수명 연장 정도에 머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진보정권에 맞서는 투사, 보수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자신을 포장해 정계 진출의 꿈을 키우고 있다고 주변에서는 관측한다. 그것은 이미 전임자인 김재철 사장도 시도했던 정치 행로다. 그에 대한 체포영장이 발부된 뒤 “앞으로 큰 역할을 할 우익 인사의 출현” 따위의 칭찬이 태극기 부대 인사들 사이에서 나오는 것에 그는 크게 고무돼 있을 것이다. 김 사장의 생명 유지 전략이 성공할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암과 사투를 벌이는 이 기자의 생명에 비하면 김 사장의 생명은 너무나 보잘것없고 허접한 생명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그 허접한 생명을 위해 진짜 고귀한 생명을 아랑곳하지 않는 김 사장의 행위는 영원히 용서받지 못할 ‘죄업’으로 기록될 것이다. #이용마 기자는 몇 달 전부터 글을 차곡차곡 써왔다. 올해 초등학교 3학년인 아들 쌍둥이에게 줄 글인데 벌써 책 한권 분량이 됐다. “애들이 스무살이 되면 볼 수 있도록 하려고요. 그 나이가 되면 어떻게 살아갈지 고민을 할 때인데, 아빠가 무슨 생각과 고민을 하면서 살아왔는지를 알면 도움이 되지 않겠어요? 애들이 스무살 때까지 제가 살아 있으면 말로 해줄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수도 있으니까요.” 삶과 인생, 사람이 올바로 산다는 것의 의미 등을 다시금 생각하며 옷깃을 여미는 오늘이다. kj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