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김이택 칼럼] 돌부리에 넘어지지 않으려면

등록 2018-04-30 17:41수정 2018-04-30 19:11

김이택
논설위원

판문점 선언에 이어 북한 핵실험장 공개 추진까지 비핵화 일정이 숨가쁘다. 2000년과 2007년 두 차례 정상회담 때보다 여건도 좋고 기대도 높다.

한국과 미국 대통령 모두 임기 초반이란 점도 평화협정과 그 이후 일정의 전망을 밝게 한다. 무엇보다 합의문의 실현 가능성을 높여주는 건 북한의 태도 변화다. 임을출 경남대 교수에 따르면 이미 2012년 무렵부터 김정은 위원장이 베트남 등 사회주의권 개혁개방 정책 연구를 김일성대학에 직접 지시했다고 한다. 4월 노동당 전원회의의 ‘경제건설’ 선언에 이어 “종전·불가침만 보장하면 왜 핵 갖고 어렵게 살겠냐”며 ‘비핵화’를 재확인했다. 김 위원장이 ‘배고픈 핵보유국’ 노선을 포기하고 외자유치를 통한 경제개발 노선을 선택했다고 볼 만하다.

우리에게도 평화 정착과 함께 경제 회생과 번영의 기회가 주어졌다. ‘역사 속을 지나가는 신의 옷자락을 잡았다’는 한 칼럼 표현도 과하지 않다. 냉전시대 유산인 과도한 국방·안보 비용을 그대로 짊어지고는 4차 산업혁명도 어렵고 복지국가 실현도 벅차다. 인구절벽·소비절벽·일자리절벽으로 꽉 막힌 경제에 돌파구를 열 새 성장동력을 북방에서 찾아야 한다. 그런 게 창조경제다.

남북이 평화·번영으로 가는 길엔 걸림돌도 적잖다. 치밀하게 일정표 짜고 돌부리도 미리 피해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과거의 ‘실패’를 제대로 알아야 미래의 시행착오도 줄일 수 있다. 그동안 비핵화 협상 실패 책임을 북한에만 전가하는 주장이 많았다. 절반만 맞는 얘기다.

1994년 카터 방북으로 위기를 넘긴 뒤 10·21 북-미 제네바 합의가 이뤄졌으나 11월 미국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상하원을 장악하면서 제동이 걸렸다. 5년 기한의 경수로 사업이 합의 3년 만에 착공식을 올렸다. 미국이 한국·일본에 재정부담을 떠넘기려다 아이엠에프와 맞물려 좌초 위기를 맞자 북은 핵사찰 대신 대포동 미사일로 응수했다.

2005년 6자회담에서 끌어낸 9·19 합의도 미국이 마카오 한 은행(BDA)의 북한 계좌를 동결해 위기를 맞았다. 이듬해 10월 북의 첫 핵실험 강행과 유엔 제재로 이어졌다. 중간선거에 패한 부시 정부가 대북정책을 바꿔 협상에 적극 나서면서 2007년 2·13 합의가 다시 이뤄졌다. 북한은 냉각탑까지 폭파하며 비핵화 의지를 과시했다. 그러나 검증을 둘러싼 북-미 간 이견에다 일본에 이어 한국의 새 정부도 중유 제공을 보류하자 북한은 다시 2차 핵실험을 강행했다. 수십년 쌓인 상호 불신은 디테일에 숨은 악마를 용케도 찾아내 협상을 좌초시켰다.

‘전쟁’을 위협하던 북한의 파격적 변신은 물론 의외다. 그러나 핵과 경제를 두 손에 쥘 수 없을 때 경제를 위해 핵을 포기해야 하는 건 어찌 보면 상식이다.

완전한 비핵화를 약속한 북의 진정성을 검증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북이 요구하는 ‘체제 보장’에도 내부 점검이 필요하다. 북한 체제를 붕괴시켜야 북핵도 없어진다는 ‘붕괴론’에 오래 집착해온 세력들이 있다. 1994년 김일성 주석, 2011년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즈음엔 이들의 주장이 특히 강력했다. 수십년 냉전 동안 ‘반공’을 최우선 가치로 내세우며 ‘분단’에서 기득권을 누려온 한국과 미국의 일부 냉전세력들이다. 무기판매에 이해관계를 공유해온 미국의 군산복합체와 그 연계세력, 색깔론과 안보상업주의로 정치·경제·언론의 기득권 동맹체제를 구축해온 국내 수구보수 세력이 대표적이다. ‘악마’ 북한과 이에 맞서는 자신들을 부각하며 ‘적대적 공존’을 해왔다. 협상이 무르익을 때마다 전쟁·충돌의 기억을 되새김질하며 갈등 소재를 부각시켰다. ‘훈령’을 조작하고 ‘불바다’ 영상 공개로 적대감을 부추겨 결국 협상을 깨도록 한 것도 이들이다. 북의 변신을 인정하기 어렵고 아직은 그럴 생각도 없어 보인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한쪽에선 ‘위장평화쇼’ ‘어처구니없다’고 폄하한다. ‘비핵화’ 약속 받아내라더니 정작 ‘완전한 비핵화’에 합의하자 김 위원장 육성이 없다, 구체적 방안이 빠졌다고 시비다. 비핵화-체제보장은 동시에 진행될 수밖에 없는데도 비현실적인 일정표를 주장하는 건 몽니다. 이들은 앞으로도 북한 인권문제 등 평화로 가는 길에 돌부리를 놓으려 숨은 ‘악마’를 찾아나설 것이다.

이들이 정치판과 여론시장을 장악하던 시절에는 이런 억지가 먹혔다. 그러나 시대가 변했고 이젠 한줌도 안 되는 그들이 갈라파고스에 갇혔다. 그래도 남북이 돌부리에 넘어지지 않게 조심은 해야 한다.

ri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일상적 불심검문에 대학생·시민들 ‘불복종’…공권력 바꿨다 1.

일상적 불심검문에 대학생·시민들 ‘불복종’…공권력 바꿨다

이제 윤석열과 검찰이 다칠 차례다 2.

이제 윤석열과 검찰이 다칠 차례다

[사설] 이번엔 가상자산·배당소득 감세 검토, 여야 ‘감세’만 협치하나 3.

[사설] 이번엔 가상자산·배당소득 감세 검토, 여야 ‘감세’만 협치하나

‘윤 부부 비방 글’ 논란, 한동훈은 왜 평소와 다른가 4.

‘윤 부부 비방 글’ 논란, 한동훈은 왜 평소와 다른가

[사설] 초고령 진입 속도 가장 빠른데, 복지지출 거북이걸음 5.

[사설] 초고령 진입 속도 가장 빠른데, 복지지출 거북이걸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