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삶의 창] 죽은 자는 정말 사라지는가 / 은유

등록 2019-04-05 17:57수정 2019-04-10 14:50

은유
작가

“애들은 좋은 곳에 갔으니까 이제 마음에 묻어라.” “교통사고다 생각해라.” “시간도 흘렀는데, 옛날처럼 같이 산에도 다니고 만나서 술 한잔도 하자.” “아이를 잃은 건 슬프지만 너는 그만큼 보상을 받지 않았냐?” 세월호 유가족이 들었던 위로의 말들이다. 상대방의 선의는 의심하지 않으나 받아들일 수 없었다고 한다.

유가족을 배려하는 행동도 배려가 되진 않았다. “유가족입니다” 하는 순간에 모든 사람들이 아무것도 안 시킨다. 커피 한 잔, 물 한 잔 마시려고 해도 “앉아 계세요, 제가 타 드릴게요” 하고, 어딜 가도 유가족 자리는 따로 마련한다. 지나친 배려는 때론 배제가 된다. 유가족이 술을 시켜도 되나, 화장은 해도 되나, 여행 간다고 손가락질하면 어쩌나 지레 주눅이 든다.

세월호 5주기에 맞춰 발간된 유가족 육성 기록집 <그날이 우리의 창을 두드렸다>에 나온 몇가지 에피소드다. 유가족은 자식 잃은 비통함에다가 거친 말들과 시선까지 감내해야 했다. “슬픔에 대해 잘 모르는 이들을 용서하는 법을 배우는 것도 슬픔의 일부다.(론 마라스코)” 그래서 부모들은 모임을 꺼린다. 광화문 농성장에 모여 있어도 말은 돈다. 울기만 한다고 뭐라고 하길래 웃었더니 웃었다고 다시 뭐라고 하니까, 서로 이렇게 충고한다. “간간이 울어.”

책을 한장 넘길 때마다 고개가 숙여졌다. 이 나라는 아이들만 구하지 못한 게 아니라 세월호의 슬픔에 빠진 유가족도 손잡아주지 못했구나 싶었다. 나도 찔리는 구석이 있다. 상처를 건드릴까봐 고인의 이야기는 삼갔다. 예의인 줄 알았다. 근데 아니더라. 17년 키운 자식을 한순간 잃었는데, 갑자기 이름도 불리지 않고 존재가 싹 지워진다면 그건 너무 쓸쓸한 일일 것이다.

우린 슬픔에 무지한 종족이 됐다. 세월호 이전에도 슬픔은 허용되는 삶의 모드가 아니었다. 슬픈 사람은 약자로 분류되고, 약자는 구제의 대상이지 자기 목소리를 내는 권리의 주체로 보지 않는다. 공적 발언의 장이 주어지지 않고, 슬픔은 각자 삭혀야 할 사적 과제로 여긴다. 슬픔을 표현하는 말도, 슬픔에 공감하는 말도 공동체에 흐르지 못하니까 슬픔에 관한 언어가 빈곤하다. 슬픔에 관한 지혜가 모자란다.

세월호 가족 이야기가 그래서 귀했다. 5년이란 고통의 시간을 견딘 목소리가, 슬픔에 단련된 말들이 쟁쟁하게 빛나는 슬픔의 교과서다. 해야 할 말과 해선 안 될 말이 무엇인지 배운 것만으로도 내겐 공부였다. 그리고 좋은 책이 그렇듯 삶과 사람에 대한 이해와 통찰이 담겼다. 슬픔을 기르는 법이 정신을 가꾸는 길로 통한다.

“이 시간이 내 정신 세계를, 중요한 게 뭔지를,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 그리고 생각하는 능력을 좀더 성숙하게 만들어놨다”고 이지민 엄마는 고백한다. 이영만 엄마도 “깊이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고, 세상에 힘들고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다는 걸 알았다”며 이제 어른이 된 것 같다고 한다. 오준영 엄마도 깨어났다. “다 연결되어 있다고. 다 나한테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다” 말한다. “책임지는 어른의 모습을 나한테 계속 강요한다”는 이재욱 엄마는 멋지다.

죽은 자는 정말 사라지는가. 아이들은 여전히 곁에 남아 부모의 결정에 개입하고 선한 영향을 미친다. “집에 들어가면 회의 녹음한 걸 세번, 네번, 어떤 때는 다섯번까지 들어요. 이해를 하려고요. 우리 아들이 옆에서 자꾸 공부를 가르치는 것 같아요.” 호성이 엄마의 말이다. 세월호의 시간 5년, 유가족은 주변에서 그토록 권하던 일상으로 돌아가지 못했으나 한사람의 분별력 있는 시민으로 복귀했다. 나만 잘살면 된다는 각자도생의 삭막한 땅에 슬픔의 눈물을 떨구어 진실의 언어를 심는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햄버거집 계엄 모의, 조악한 포고령…국가 위협한 ‘평균 이하’ 1.

햄버거집 계엄 모의, 조악한 포고령…국가 위협한 ‘평균 이하’

‘어준석열 유니버스’ 너머 [박권일의 다이내믹 도넛] 2.

‘어준석열 유니버스’ 너머 [박권일의 다이내믹 도넛]

윤석열, 극우 거리의 정치 올라탈까…트럼프식 부활 꿈꾸나 3.

윤석열, 극우 거리의 정치 올라탈까…트럼프식 부활 꿈꾸나

한강은 보았다…계엄군의 머뭇거림을 [특파원 칼럼] 4.

한강은 보았다…계엄군의 머뭇거림을 [특파원 칼럼]

한덕수 권한대행, 내란·김건희 특검법 즉각 공포하라 [사설] 5.

한덕수 권한대행, 내란·김건희 특검법 즉각 공포하라 [사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