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특파원 건국 70주년을 앞둔 베이징은 흥청거리고 있다. 거리마다 오성홍기가 나부끼고, 공원마다 홍등이 내걸렸다. 신중국 70년의 성과를 알리는 대규모 전시회가 개막했고, 철통같은 보안 속에 사상 최대 규모의 군사퍼레이드 준비가 한창이다. 국경절(10월1일)을 앞두고 중국 <중앙방송>(CCTV)이 기획한 24부작 다큐멘터리의 첫회 ‘신중국 탄생’ 편은 “1840년부터 1911년까지 70년여 만에 청나라 정부가 서구 열강의 강압 속에 체결한 불평등 조약은 400여건에 이른다”는 말로 문을 열었다. 이제 중국에 ‘불평등 조약’ 따위를 강요할 나라는 없다는 ‘자부심’이 느껴진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5개 회원국으로 구성된다. 중화민국, 프랑스, 소비에트사회주의연방공화국, 영국, 미국은 안보리의 상임이사국이다.” 유엔 헌장 제23조 1장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세월이 흘러 소련의 자리는 러시아가 차지했다. 그에 앞서 중화민국의 자리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차지했다. 헌장은 개정되지 않았다. 신해혁명으로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1912년 1월1일 건국한 중화민국은 10월10일을 국경절로 기린다. 허베이성 우창에서 혁명의 서막을 올린 무장봉기가 시작된 날이다. 중화민국에 이어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1949년 10월1일 수립됐다. 내전에서 패한 ‘중화민국’ 정부는 그 무렵 대만으로 옮겨가 새로 헌법을 만들고 정부를 세웠다. 중화민국의 ‘적통’인 중국이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자리를 대만한테 되돌려받기까지는 무려 23년이 걸렸다. 중-소 분쟁과 베트남전쟁의 참화 등으로 영원할 것 같던 냉전체제가 처음으로 흔들리기 시작한 무렵이었다. 헨리 키신저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1971년 7월 비밀리에 베이징을 방문해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를 만났다. 석달 뒤인 10월25일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가 통과됐다. 안보리에서 대만이 앉았던 ‘중화민국’ 자리가 중국으로 넘어갔다. 이듬해 2월 리처드 닉슨 미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했다. 미국은 1979년 1월1일 중국과 수교를 맺었다. ‘하나의 중국’ 원칙과 ‘대만은 중국의 일부’란 중국 쪽 주장도 관철됐다. 미국과 수교 직후 중국은 개혁·개방의 길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급격한 산업화와 함께 기적적인 경제성장을 구가했다. 불과 40년 만에 ‘세계의 공장’을 넘어 ‘세계의 시장’으로 떠올랐다. 어디 경제뿐일까? 군사·외교적으로도 냉전 종식 이후 유일 초강국으로 군림했던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가 됐다. ‘자부심’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지난 16일 남태평양의 섬나라 솔로몬제도가 대만과 국교를 단절하고 중국과 수교를 결정했다. 20일엔 미크로네시아의 섬나라 키리바시가 뒤를 이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중국 관영 매체는 “키리바시 외에도 국경절 이전까지 추가로 대만과 단교를 선언하는 나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최근 ’친대만’ 성향의 총리를 전격 교체한 인구 1만2천여명의 작은 섬나라 투발루가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다. 솔로몬제도와 키리바시도 각각 인구가 약 60만명과 11만명에 불과한 작은 나라다. 2016년 차이잉원 대만 총통 집권 이후 7개국이 대만 대신 중국을 선택했다. ‘하나의 중국’을 받아들이지 않는 차이 총통 정부에 대한 중국의 전방위적 압박의 결과다. 이제 대만의 수교국은 바티칸을 포함해 15개국뿐이다. 중국은 대만을 ’통일’의 대상이라 말한다. ’굴복’을 원하는 것일까? 마음을 얻지 못하고 통일이 가능할까?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