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사설

[사설] 파리협정 5년, 기후재앙 막을 실천 구체화할 때

등록 2020-12-13 17:46수정 2020-12-14 02:41

2017년 6월3일 미국 캘리포니아 산후안 카피스트라노에서 열린 기후위기 대응 촉구 시위에 참여한 한 어린이의 모습. 연합뉴스
2017년 6월3일 미국 캘리포니아 산후안 카피스트라노에서 열린 기후위기 대응 촉구 시위에 참여한 한 어린이의 모습. 연합뉴스

전체 인류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구체적 행동에 나설 것을 결의한 파리협정이 12일(한국시각 13일)로 5주년을 맞았다. 이날 화상으로 열린 유엔 기후목표 정상회의에는 세계 70개국 정상들이 참여해 각국의 기후위기 대응책을 내놨다. 문재인 대통령도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조속히 상향해 제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15년 세계 195개국은 파리협정을 맺고,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이하로 묶기 위해 나설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세계 2위 온실가스 배출국인 미국이 지난 11월 탈퇴하면서 국제적인 공동 전선에 구멍이 뚫렸다. 다행히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가 ‘내년 1월 취임 당일 협정 복귀’를 선언함으로써, 다시 한번 세계 전체의 연대와 공조에 청신호가 켜진 터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 듯, 이번 정상회의에서 일부 국가는 이전보다 구체화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해법을 제시해 주목을 받았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영국의 2030년 탄소 배출량을 1990년 대비 최소 68% 감축하겠다”며 “화석연료 업계의 해외 사업에 제공한 금융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새로운 화석연료 매장 탐사 지원을 중단하고 신규 석탄공장 건설을 금지하겠다고 공언했다. 고무적이다. 다만 시진핑 국가주석이 “2030년까지 국내총생산(GDP) 단위당 탄소 배출량을 2005년 수준에서 65% 이상 낮추겠다”고 밝힌 중국과 인도 등을 두고는 여전히 세부 이행계획 없이 추상적 선언에 그쳤다는 지적도 나왔다. 러시아,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등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큰 나라들이 불참한 것도 무척 아쉬운 대목이다.

관건은 실천이다. 각국은 상세한 이정표를 짜 정상들의 약속을 반드시 지키기 바란다. 한국 역시 감축 상향치와 실행 방안을 신속히 내놓아야 한다. 전 지구적 공조만이 지금도 째깍이는 기후재앙의 시한폭탄을 끌 수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 옹호자들에게 묻는다 [박찬승 칼럼] 1.

윤석열 옹호자들에게 묻는다 [박찬승 칼럼]

우리는 ‘멍청함’과 싸워야 한다 [왜냐면] 2.

우리는 ‘멍청함’과 싸워야 한다 [왜냐면]

[사설] 나라와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다, 윤석열 자진출석하라 3.

[사설] 나라와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다, 윤석열 자진출석하라

카이스트 ‘입틀막’이 환기하는 선택의 엄중함 [아침햇발] 4.

카이스트 ‘입틀막’이 환기하는 선택의 엄중함 [아침햇발]

[사설]대안은 안 내고 또 트집, ‘제3자 추천 내란 특검’도 못 받겠다는 국힘 5.

[사설]대안은 안 내고 또 트집, ‘제3자 추천 내란 특검’도 못 받겠다는 국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