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당선인이 14일 오전 서울 통의동 집무실에서 바르자니 쿠르드 지방정부 총리와 만나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명박 정부 내각 인선도 지역편중
능력 우선·지역안배 뒷전 ‘인재풀’ 스스로 좁혀
강만수·원세훈·유인촌 등 ‘코드인사’ 비판
장관 평균 60.9살…“10년 야당 인재난” 푸념
능력 우선·지역안배 뒷전 ‘인재풀’ 스스로 좁혀
강만수·원세훈·유인촌 등 ‘코드인사’ 비판
장관 평균 60.9살…“10년 야당 인재난” 푸념
이명박 정부의 첫 내각은 역대 정부에 비해 확연한 ‘영남 편중’ 현상으로 특징지어지고 있다. 장관들의 평균 나이도 60.9살로, 김영삼·김대중·노무현 정권의 ‘50대 내각’에 비해 훨씬 고령화됐다.
■ ‘영남 정부’ 현실화하나?=지난 3일 이명박 정부의 첫 청와대 수석 인선이 영남 편중(10명 중 5명)이라는 지적이 일자, 이 당선인 쪽은 “내각에서는 지역 안배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까지 진행되는 양상은 여기에 한참 못 미친다. 지역 안배에 신경을 썼던 역대 정권과 달리 이명박 정부 첫 내각에 호남 출신은 14일 현재 정운천 농수산식품부 장관 후보 한 명뿐이다.
청와대 수석급에 호남 출신이 전혀 없는 마당에 내각 중에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농수산식품부 장관 한 명만 호남 출신으로 배치되는 이례적 현상이 예상되는 것이다. 이런 ‘호남 홀대’는 역대 정부와 비교해서도 두드러진다. 김영삼 정부의 경우 초대 내각은 총리를 비롯해 5명이 호남 출신으로 채워졌다.
이 당선인 쪽은 이런 지역 편중 인사에 대해 “10년 야당을 하다 보니 사람 찾기가 어렵다”며 인재 풀의 한계를 호소하고 있다. 이 당선인 쪽은 또 새 정부가 20개 안팎의 중앙 부처를 13개로, 청와대도 ‘4실장 10수석’에서 ‘1실장 1처장 7수석 1대변인’으로 자리를 크게 줄이는 바람에 16개 권역에 이르는 지역 안배를 하기가 더욱 힘들다고도 한다.
그러나 이런 특정 지역 편중 현상은, 인사 문제에서 일·능력을 최우선 순위에 두는 이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믿고 쓸 능력 있는 사람을 우선 찾다보니 지역 안배는 후순위로 밀려난 셈이다. 이 과정에서 강만수 전 재경원 차관이나 어윤대 전 고려대 총장, 원세훈 전 서울시 부시장, 유인촌 전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등 오랜 측근들을 대거 기용한 ‘코드 인사’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 고령에 ‘남성’ 정부 색갈 짙어=아직 최종 인선이 발표되진 않았지만, 이명박 첫 내각의 평균 연령은 60.9살 가량으로 예상된다. 김영삼(55.1), 김대중(58.2), 노무현(54.4) 정부 첫 내각에 비해 월등한 ‘고령 내각’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 당선인은 지난 3일 청와대 수석 인선을 발표하면서, 내각은 상대적으로 경륜 있는 인사들로 채워질 것임을 시사했다. 그러나 50대에서 60대로 점프해 버렸다. 이 또한 ‘10년 야당’에 따른 인재난의 한 단면으로 볼 수 있다.
이명박 정부는 또 김영삼 정권 이후 여성 장관이 가장 적은 첫 내각을 꾸리게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는 첫 내각에 여성이 각각 3명, 2명, 4명이었으나, 이명박 정부는 이날 현재 박은경 환경부 장관 후보 단 한 사람뿐이다.
출신 대학에서도 김영삼 정권 때는 서울대 출신이 66.7%, 고려대 출신이 12.5%로 ‘서울대 정권’ 성격이 강했지만, 이명박 정부는 서울대가 46.2%로 줄어드는 대신, 이 당선인이 나온 고려대가 23.1%(13명 중 3명)로 다소 늘었다. 고려대 출신은 김대중 정권과 노무현 정권 첫 내각에서 한 명씩이었다.
황준범 유신재 기자 jaybee@hani.co.kr
황준범 유신재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