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수를 조작하는 방법 등으로 문재인 정부 비방 글을 올린 혐의를 받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당원들이 지난해 대선 때는 ‘댓글공작’을 펼쳤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캠프’에서 일했던 관계자들은 “워낙 지지자들이 적극적이어서 그렇게 구태의연한 방식으로 여론을 퍼뜨릴 필요가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대선 후보 시절 문재인 대통령이 ‘대세론’을 이어온 만큼 “자발적으로 나선 뒤 선거 전후에 대가를 요구하는 이들이 종종 있었다”는 후문이다.
문재인 캠프에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관련 업무를 맡았던 한 민주당 관계자는 15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당시 에스엔에스 본부는 각 시도당의 메신저에서 상향식으로 당원들이 의견을 전하는 방식으로 운영됐다”며 “하향식으로 메시지를 전파하는 조직이라기보다는 온라인 상황실처럼 운영됐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에 메시지를 올리기만 해도 팬클럽 등 지지자 그룹이 자발적으로 신속하게 퍼뜨렸기 때문에 굳이 무리해서 조직을 운영할 필요가 없었다”고 덧붙였다.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저녁 국회 정론관에서 문재인 정부 비방 댓글을 쓰고 추천 수 등을 조작한 혐의로 구속된 민주당원 김아무개씨 등과 관련해 입장문을 발표한 뒤 생각에 잠겨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실제로 지지자 그룹의 자발적인 댓글 활동은 선거에서 막기도 어렵거니와, 대가성이 없다면 불법행위도 아니다. 문재인 캠프에서 일했던 민주당의 한 보좌관은 “선거를 돕겠다고 에스엔에스 메시지를 보내는 사람은 수두룩하다. 고맙다고 인사하고 계속 열심히 해달라고 하지, 누가 신원을 확인해가며 하겠냐”며 “온라인 선거운동은 대개 자원봉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댓글공작을 벌인 김아무개씨(아이디 ‘드루킹’)뿐 아니라 몇몇 지지자들이 불법적인 방식으로 댓글공작에 나서더라도 당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차원에서는 알기 어려웠을 가능성이 있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우리뿐 아니라 다른 당에도 선거 전에 (여론조작이) 의심되는 사례들이 있었다”며 “대선이 끝난 뒤에도 그런 작업이 계속되니 당에서 정리해서 고발에 나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재명 전 성남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나도 작년 이 사람으로부터 ‘동교동계 세작(간첩)’이라는 음해공격을 받았다”며 “이들은 댓글조작과 허위글에 기초한 정치적 영향력을 과신하고, 자신이 선택한 정치인(정치집단)을 위해 옹호용 또는 상대방 공격용 댓글조작이나 날조글을 써왔다”고 주장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