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조경태 최고위원이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내부에서 지난 4월 ‘패스트트랙 충돌 사태’와 관련해 소환 통보를 받은 의원들이 검찰 수사에 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당의 검찰 소환 불응 방침으로 오히려 피해를 보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온다. 원내지도부가 의원들 다잡기에 나섰지만, 나경원 원내대표의 ‘패스트트랙 수사 공천 가산점’ 발언이 역풍을 맞으며 ‘지도부 책임론’까지 불거지는 분위기다.
조경태 최고위원은 24일 <문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정기국회가 끝나고 나면 자유한국당도 적극적으로 (수사에) 협조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앞서 김학용 의원도 지난 11일 <교통방송> 라디오에서 “저희가 당당하게 가서 조사받는 것이 맞다. 그래야 윤석열 검찰총장이 조국과 관련된 것을 다루는 것도 명분이 선다”고 말했다. 의원들이 검찰 조사를 거부하면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해서는 수사를 확대하라고 촉구하는 상황이 염려스럽다는 지적인 셈이다.
무엇보다 재판 결과에 따라 ‘리스크’를 짊어져야 하는 현역들의 불만은 폭발 직전이다. 소환 통보를 받은 의원들은 “(검찰 조사에 응하지 않아) 불구속 기소로 재판에 넘어갈 경우, 오히려 소명할 기회가 적어질 것” “소환 요청이 왔을 때 갔어야 했다. 국회가 끝나자마자 기소되면, 그때는 (의원들 각각의) 개별 사안이 되어버린다”고 걱정하고 있다. 나 원내대표가 “모든 것은 제 책임”이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지도부만 믿고 있을 수는 없다는 게 의원들의 분위기다. 일부 의원들은 개별 출석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2일 나 원내대표의 “패스트트랙 수사를 받는 의원들에게 공천 가산점을 줘야 한다”는 발언도 실제론 이런 당내 불만을 잠재우려다 나온 ‘헛발질’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당 지도부는 ‘원칙적 차원의 이야기’라며 수습에 나섰지만, 검찰 수사 대상 50여명에 포함되지 않은 의원들 사이에서는 역차별을 우려한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장나래 김미나 기자 w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