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미래통합당 전 총괄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1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김종인 미래통합당 전 총괄선대위원장이 22일 “조기 전당대회가 전제된다면 할 수 없다”며 비상대책위원회의 기한을 정하지 않고 전권을 가져야 비대위원장직을 맡을 수 있다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시비에스>(CBS) 라디오에 출연해 “전당대회를 7월, 8월에 하겠다는 전제가 붙으면 나한테 와서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얘기할 필요도 없다”며 전권을 가진 비대위를 주장하고 나섰다. 이는 통합당 당헌·당규에 명시된 ‘8월31일 전당대회’ 규정을 언급한 것으로, 전당대회를 치르기 위한 비대위는 맡지 않겠다는 뜻을 노골적으로 밝힌 것으로 읽힌다.
그는 “당헌·당규에 너무 집착하다 보면 비대위가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다음 대선을 어떻게 끌고 갈지 준비가 철저히 되지 않고서는 지금 비대위를 만드는 의미가 없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이런 발언은 대선 준비에 본격적으로 돌입하게 되는 올해 말까지는 당을 운영하겠다는 속내인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위원장은 “결국은 대선이 확실하게 보일 수 있도록 (비대위에서) 일을 해주고 나와야 하는 것 아닌가. 대선을 제대로 치를 수 있는 준비까지는 해줘야 한다”며 “대통령 임기가 2년밖에 안 남았고, 내년 3∼4월 이후부터는 대선 후보 선정 등이 시작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통합당 당헌에는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는 사람이 선거일 1년 6개월 전 모든 선출직 당직에서 사퇴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김 전 위원장은 그러면서 통합당의 총선 참패 원인으로 ‘공천잡음’을 꼽았다. 그는 “잡음이 있었던 공천이 선거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공천잡음이 있었던 이후에 이제 마지막 2주에 내가 참여를 하게 됐는데 참 납득하지 못하는 일이 많이 발생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또 “선거전에 들어가서는 황교안 전 대표의 엔(n)번방 발언과 김대호·차명진 후보의 막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처리를 미루면서 유권자들에게 실망을 줄 수밖에 없었다”고 진단했다.
또 통합당과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의 합당 문제에 대해서는 두 정당의 독자 노선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 전 위원장은 “한국당엔 다 전문가들로 구성된 초선 의원들로만 돼 있지 않으냐”며 “한 명 더 가면 교섭단체가 될 수 있으니까 그런 노력(독자 노선)을 하지 않겠냐 생각한다. 일정 기간 그것도 생각해볼 수 있는 거 아니냐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빨리 합친다고 해서 특별하게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닌 것 같다”고 덧붙였다.
통합당은 전날 20대 현역 국회의원과 21대 총선 당선인들에게 전수조사한 결과에 따라 향후 지도체제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통합당 최고위원회는 이날 오전 10시 비공개 회의 뒤 종합한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