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호소인’ 표현 비판일자 정정 내년 4월 재보궐선거 공천 관련 일부선 “서울시장도 무공천해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와 박주민 최고위원이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원순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 사건 고소인을 ‘피해자’가 아니라 ‘피해 호소인’ ‘피해 호소 여성’ 등 유보적 표현으로 지칭해온 더불어민주당이 여론의 거센 비판에 ‘피해자’란 명칭으로 통일해 사용하기로 했다.
허윤정 민주당 대변인은 17일 오전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 회의에서 논의 끝에 ‘피해자’란 호칭을 쓰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이 사용했던 ‘피해 호소인’ ‘피해 호소 여성’ ‘피해 고소인’ 등의 표현은 가해자를 두둔하거나 피해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속내가 담겼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피해 호소인’은 애초 당의 윤리규정에 따라 사용했던 표현이었지만 각종 오해를 받아가면서 굳이 고집할 이유가 없다. 앞으로는 ‘피해자’로 쓰는 것이 좋겠다고 최고위에 보고했고 별다른 이견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 사건이 발생 일주일을 넘기면서 당내에선 내년 4월에 치러질 보궐선거 후보 공천 여부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을 맡은 전재수 의원은 이날 오전 <문화방송>(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내년 부산시장 보궐선거는) 대의명분적·실리적 측면에서 우리가 확실히 반성하고 후보를 안 내는 게 맞다”며 “(서울시장의 경우도) 그래야 된다”고 밝혔다. 재보궐선거의 원인을 제공한 상황에서, 비판을 감수하고 후보를 내서 얻는 실익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전 의원은 “치열한 논의를 거쳐 후보를 내는 쪽으로 정리된다면 우리 후보 당선을 위해 열심히 일하겠다”면서도 “박 시장 문제가 불거지기 전,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공천하지 않는다는 데에는 전반적인 공감대가 이뤄졌던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