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의 ‘행정수도 이전’ 제안에 대해 통합당 일부에서도 긍정적 목소리가 나오자 당 지도부가 브레이크를 걸며 공세를 높이고 있다. 전날 충청권 의원들과 주요 대선주자들을 중심으로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발언이 나온 것에 대해서는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김종인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3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부동산 투기 (방지) 대책이 전혀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국민 원성이 높아지고, 대통령 지지율이 급락하니 급기야 내놓은 제안이 수도를 세종시로 옮기겠다는 얘기”라며 “과연 이것을 정상적인 정부 정책으로 내놓을 수 있는 것이냐”고 반발했다.
그는 이어 “세종시를 만들어서 운영된 지가 얼마냐. 인구 유입은 어떤가 생각해보라. 지역균형발전이라는 것도 수도권 인구 과밀을 해소하는 데 아무런 효력을 내지 못한 게 오늘의 현실”이라며 “대통령에게 요구한다. 정책이 상식선에서 나올 수 있도록 정책 팀의 정비를 단행하라”고 말했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도 이날 <문화방송>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여당이 이 시점에 행정수도 이전을 말하는 것은 ‘대선용’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16년 전에 소위 행정수도 이전을 놓고 노무현 전 대통령께서 선거에 재미 좀 봤다고 하지 않았나. 이번에도 선거 재미를 보려고 민주당이 저러는 측면이 없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의 공식 입장이 정해진 바는 없다. 행정수도 이전이 위헌판결이 나지 않았나. 그때부터 우리당의 입장은 위헌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행정수도 이전은 안 된다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주 원내대표는 세종시에 국회 분원을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입장을 냈다. 그는 “세종시를 자족도시가 되도록 돕는 것은 행정수도 이전과는 별개 문제여서 세종시를 발전시키자는 데는 동의한다”고 밝혔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행정수도 완성, 물론 필요하다”라면서도 “그런데 왜 하필 지금인가. 물타기와 함께 수도권과 지방을 가르고, 지역감정 부추겨서 ‘어게인 2002’ 대선판을 다시 한 번 만들어 보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