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회의실에 들어서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국민의힘이 금융당국의 ‘암호 화폐’ 규제 예고와 관련 정부여당을 강하게 질타하면서 당내 암호 화폐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투자자 보호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4·7 재보궐선거 이후 청년 표심 잡기에 주력하고 있는 야권은 이들 세대에게 열풍처럼 번지고 있는 암호 화폐를 고리로 거듭 ‘세대 확장’ 노력에 나서는 모습이다.
주호영 국민의힘 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26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암호 화폐 문제를 두고 정부 여당이 우왕좌왕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며 “투자자는 보호할 수 없고 소득엔 과세한다는 논리다. 2030 청년은 어처구니없는 배신감과 억울함을 드러내고 있다”고 반발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실제 국민 자산이 얼마나 암호 화폐 시장에 유입됐는지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거래소를 폐지하겠다는 엄포만 놓을 것이 아니라 제도화할 것인지 투자자보호는 어떻게 할 것인지를 논의해야 한다”며 “국민의힘은 당내 티에프를 만들어 암호 화폐 관련 연구와 투자자보호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당도 이날 한목소리를 냈다. 권은희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암호 화폐 거래와 보유를 불법화하고 전면 금지하는 터키나 인도보다 무능하게 대처하고 있다. 무책임하기 이를 데 없는 정부의 모습”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20·30세대의 암호 화폐 열풍은 정부의 부동산 대책 25번 실패로 ‘벼락 거지’가 된 좌절감에서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탈출구를 찾은 것”이라며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9월에 암호 화폐 거래소가 폐지될 수 있다’ ‘잘못된 길로 가면 어른들이 이야기해줄 필요가 있다’며 수수방관했다. 책임을 면할 방법만 강구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앞서 지난 22일 은 위원장은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가상화폐를 금융상품으로 인정할 수도, 손실 보호를 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미등록 암호 화폐 거래소의 9월 폐쇄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는 “잘못된 길로 가면 어른들이 이야기를 해줘야 한다”는 표현까지 썼다. 이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은성수 금융위원장의 자진사퇴를 촉구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까지 올라왔다. 이 청원은 26일 오후 3시 기준, 13만명의 동의를 얻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