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코로나19 확진자가 이틀 연속 7000명대를 유지하자, 김부겸 국무총리로부터 매일 코로나19 현황과 정부의 대응 조처를 보고받기로 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9일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관련 특별방역점검과 강화된 방역 조치가 시행중인 상황에서 중대본 본부장인 김부겸 국무총리와 매일 통화하며 코로나19 현황과 정부의 대응 조치를 보고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지난해 코로나 1차 확산때 대구로 내려가 진두 지휘를 한 적은 있지만, 총리가 매일 대통령에게 전화로 상황 보고를 하기로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임기말과 연말을 맞아 정부의 방역상황 대응이 느슨해지는 것을 막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코로나19 방역 관련 긴급관계장관회의’가 끝난 직후 김부겸 총리와 통화하고, 코로나19 상황 평가 및 전망, 오미크론 발생 현황 및 추가 조치 방안, 고령층 3차 접종 지원 대책과 청소년 백신접종률 제고 등 예방접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보고를 받았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이날 열린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는 군의 병상 및 의료진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청와대는 9일 보도자료를 통해 “상임위 참석자들은 최근 신종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을 포함한 코로나19 확산 상황을 조속히 극복하기 위해 범정부적 노력이 매우 긴요하다는 인식하에 군의 병상 및 의료진 지원을 비롯해 안보외교 부처 차원에서 가용한 역량을 총동원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기존 감염병 전담 158병상에 134병상을 추가하고, 군의관 40명을 민간에 파견한다.
한편 상임위는 지난 1991년 12월 13일에 체결한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남북기본합의서) 채택 30주년의 의미를 평가했다. 한반도 정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북한과의 대화를 조속히 재개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기로 했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