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4일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에 대해 “우리가 중재안을 마련하기 전에 보다 더 급선무는 미국과 북한 모두 대화의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북-미 양쪽이 대화 포기라는 ‘극단’으로 가지 않도록 설득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관련기사 5면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에서 외교·통일·국방부로부터 북-미 정상회담 분석 및 평가보고를 들은 뒤 이렇게 밝혔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직접 주재한 것은 지난해 싱가포르 북-미 1차 정상회담 직후인 6월14일 이후 9달 만이다.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어렵게 여기까지 왔지만, 무너지는 것은 순간”이라며 “북-미 모두 대화의 궤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인내심을 갖고 이탈하지 않도록 우리가 최선의 노력을 다하자”고 말했다고 김 대변인은 밝혔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구실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신속한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그는 “북-미 회담이 종국적으로 타결될 것으로 믿지만 대화 교착이 오래 계속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북-미 실무 대화의 조속한 재개를 위해서도 함께 노력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각 부처에 △북-미 입장 차를 좁힐 수 있는 방안 모색 △속도감 있는 남북 협력사업 준비 △‘신한반도체제’ 개념 정립 및 비전 마련 등을 주문했다.
이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북-미 간 1.5트랙 협의나 중, 러 등 관련국과의 협의를 통해 조속히 북-미 대화가 재개되도록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보고했고,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개성공단이나 금강산관광 재개 방안을 마련해 미국과 협의를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3월 안에 남북 군사회담을 개최해 9·19 남북 군사합의 이행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2차 북-미 정상회담은 결과에서 매우 아쉽지만, 그동안 북-미 대화를 통해 이룬 매우 중요한 성과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시간이 좀 더 걸릴지라도 이번 회담이 더 큰 합의로 가는 과정이라는 기대를 가질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또 “(북-미) 양쪽이 대화를 계속해나가길 바라고 두 정상이 이른 시일 내에 만나 이번에 미뤄진 타결을 이뤄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