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는 지금 ‘평화 제로’
연일 긴장고조에 시민들 불안
연일 긴장고조에 시민들 불안
남북관계의 유일한 ‘생명선’이던 개성공단이 9일 마침내 가동을 멈췄다. 북한이 또다시 전쟁을 경고하는 도발적 언사까지 늘어놓자 국지전을 우려하는 누리꾼들의 우려가 쏟아졌다.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졌고, 대형마트의 생필품 매출이 늘었다. 온갖 어려움 속에서도 김대중·노무현 정부 10년 동안 쌓아왔던 ‘한반도의 평화’라는 공든탑이 5년 남짓 만에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개성공단의 미싱은 가동 9년 4개월 만인 이날 회전을 멈췄다. 북한의 세 차례 핵실험, 2010년 3월 천안함 침몰, 11월 연평도 포격 때도 없던 일이다. 오전 10시 경기도 파주시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해 돌아온 입주업체의 한 직원은 “오늘 북한 직원들이 출근하지 않았다. 이제 끝장났다”고 고통스럽게 말했다. 북한 근로자 5만4000여명을 매일 아침 8시께 실어나르던 250여대의 통근버스도 움직이지 않았다. 납품 기한을 맞추기 위해 운동복 1000벌을 승용차에 바리바리 싣고 돌아온 다른 입주업체 직원은 현지 상황을 묻자 “처자식을 먹여 살려야 하는데…”라며 울상을 지었다. 이날 71명이 돌아왔고, 외국인 2명을 포함해 408명이 실낱같은 희망을 붙든 채 개성에 남아 있다.
북한은 이날도 “서울을 비롯해 남조선에 있는 모든 외국기관들과 기업들, 관광객을 포함한 외국인들은 신변안전을 위해 사전에 대피 및 소개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불안감을 부추겼다.
서울의 한 대학에서 교직원으로 근무하는 김아무개(40)씨는 “지난해 12월 북한이 인공위성을 쐈을 때만 해도 별 느낌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긴박하게 돌아가는 최근 몇 주 사이의 정세를 보며, “이러다간 전쟁이 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덜컥 들었다”고 했다. 그사이 미국의 첨단 무기들이 잇따라 출몰했고, 서로 질세라 남북간에 초강경 발언이 오갔다. 김씨는 보유중인 주식이 폭락할까봐 걱정하며 수시로 주식 시세를 확인한다.
2010년 11월 북의 포격을 받았던 연평도 주민들의 불안은 극에 달해 있다. 신일근 청년회장은 “불안하다며 이미 100여명이 섬을 떠났다. 오늘 이장들이 모여 정부에 이주 대책을 요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마트의 관계자는 “일주일 전부터 라면, 생수, 부탄가스 등 생필품의 수요가 10~20% 정도 늘었다. 사재기라고 할 순 없지만 의미 있는 변화”라고 말했다. 이날 밤 10시 현재 포털사이트 다음의 ‘소셜픽’을 보면 ‘외국인 대피 대책’이 5만여건의 검색, 1200여개의 트위트, 7700여개의 댓글로 소셜픽 검색어 1위를 차지했다.
주식시장에선 코스피200의 변동성 지수가 18.72로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 지수는 주가가 급락할 때 급등하기 때문에 ‘공포지수’라고도 불린다. 5년 만기 국채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88bp로 지난해 말보다 27bp 급등했다. 시디에스 프리미엄이 높을수록 발행 주체의 부도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개성공단 입주기업인들은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남북한 당국이 직접 나서서 대화를 통한 사태 해결에 나서주기 바란다”고 애타게 호소했다. 남북한 정부는 이들의 호소에 귀를 기울일까. 염원했던 평화는 온데간데없고, 남은 것은 상대를 향한 불신과 증오뿐이다.
파주/길윤형 기자, 정환봉 홍대선 기자 charism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북 “남한 내 외국인 대피 준비하라”
■ 나라빚 443,800,000,000,000원
■ 세자는 왜 왕의 수라를 먼저 먹었나
■ 김연아 6월 ‘올댓스케이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 ‘불황 효자’ SUV 잡아라. 차업계 가속페달 밟는다
■ 북 “남한 내 외국인 대피 준비하라”
■ 나라빚 443,800,000,000,000원
■ 세자는 왜 왕의 수라를 먼저 먹었나
■ 김연아 6월 ‘올댓스케이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 ‘불황 효자’ SUV 잡아라. 차업계 가속페달 밟는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