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해양국장 밝혀...언론도 일 의도등 비판
중국이 일본의 동해도발과 한.일 외교당국의 타협과정, 노무현 대통령의 특별담화 및 그 영향 등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한 고위관리가 독도문제와 관련한 한국의 강경자세는 중국에도 참고가 된다고 말해 관심을 끌었다.
중국 언론도 노 대통령 특별담화 발표 이후 뉴스분석, 전문가 인터뷰 등의 형식으로 독도문제 관련 기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일본의 동해도발 의도, 역사인식 문제, 동북아시아 안전문제 등을 제기하고 있다.
쑨즈후이(孫志輝) 중국 국가해양국장은 지난달 28일 중국과학원에서 열린 '해양의 전략적 지위와 중국 해양이 직면한 몇 가지 문제'라는 제목의 보고에서, 중국이 관할할 수 있는 해역 300만㎢ 가운데 52%는 이웃나라와 쟁의중이라고 밝혔다.
쑨 국장은 이어 중국과 일본 간의 동중국해 경계획정 문제에 언급, "한국이 독도문제와 관련해 '어떠한 대가와 희생도 아끼지 않겠다'는 강경한 자세를 보여준 것은 중국도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그의 이같은 발언은 중국 언론에 보도되지 않고 일부 뉴스 포털만 친중국계 홍콩 신문인 문회보의 보도를 인용해 전했으며 중국과학원 연구생원(대학원) 사이트에 올라 있는 그의 보고 내용에도 예의 대목은 빠져있다.
쑨 국장은 이어 "중국은 해상에서 권리를 수호할 수 있는 상당한 수준의 역량을 갖고 있다"면서 "만부득이할 때는 해상에서 일본에 맞서 대항할 능력과 결심이 있다"고 강조함으로써 댜오위다오(釣魚島) 등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 벌어질 경우 강력하게 대응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중국에 면해 있는 해역 가운데 경계획정이 불필요한 보하이(渤海)를 제외한 3개 해역은 북한, 한국, 일본,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8개 국가와 경계획정문제에서 이견을 보이고 있으며 문제의 해역은 150㎢에 이른다고 밝혔다.
쑨 국장은 동중국해의 영토분쟁으로 중.일 양국 간에 격렬한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중국이 바라지는 않지만 강경한 자세를 취하는 목적은 일본에 중국의 결심을 보여줌으로써 이 문제를 타협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 공산당 이론지 광명일보의 자매지인 신경보는 30일 '독도분쟁에서 나타난 일본의 그릇된 역사관'이라는 제목으로 전문가들의 시각을 전했다. 중국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 진시더(金熙德) 연구원은 2차대전이 끝난 후 한국이 회수해 간 독도 지배권을 반세기가 지난 후 다시 주장하는 목적의 하나는 자국의 '식민지시대 점거'를 합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동북아연구센터 황다후이(黃大慧) 주임은 한국이 영토문제와 역사문제를 연계시킴으로써 독도분쟁에서 피동적이던 한국이 주동적인 위치로 바뀔 수 있게 됐다면서 이번 한.일분쟁은 동아시아지역에 아직도 '영토주권' 같은 전통적 안전문제가 존재한다는 점을 설명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시사 주간지인 세계신문보는 '독도 위기로 본 일본의 외교수단'이라는 논평기사에서 "일본측에서 말하는 해양조사의 본질적 동기는 '도발외교' 수법을 통해 이 문제를 더 국제화함으로써 세계의 동정을 사려는 것"이라면서 "일본과 접촉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도 높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돈관 특파원 don@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한편 중국 공산당 이론지 광명일보의 자매지인 신경보는 30일 '독도분쟁에서 나타난 일본의 그릇된 역사관'이라는 제목으로 전문가들의 시각을 전했다. 중국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 진시더(金熙德) 연구원은 2차대전이 끝난 후 한국이 회수해 간 독도 지배권을 반세기가 지난 후 다시 주장하는 목적의 하나는 자국의 '식민지시대 점거'를 합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동북아연구센터 황다후이(黃大慧) 주임은 한국이 영토문제와 역사문제를 연계시킴으로써 독도분쟁에서 피동적이던 한국이 주동적인 위치로 바뀔 수 있게 됐다면서 이번 한.일분쟁은 동아시아지역에 아직도 '영토주권' 같은 전통적 안전문제가 존재한다는 점을 설명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시사 주간지인 세계신문보는 '독도 위기로 본 일본의 외교수단'이라는 논평기사에서 "일본측에서 말하는 해양조사의 본질적 동기는 '도발외교' 수법을 통해 이 문제를 더 국제화함으로써 세계의 동정을 사려는 것"이라면서 "일본과 접촉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도 높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돈관 특파원 don@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이슈독도 영토주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