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분단이 더 길어지면 몽골과 내몽골처럼 돌이킬 수 없게 된다. 지금 한국이 남북화해와 통일을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
‘한반도 통일 지지 몽골 포럼’ 발족을 준비하고 있는 바산자브 르하그바(사진) 몽골 국가안전보장회의 산하 전략연구소 고문은 몽골의 대표적인 한국통이다. 1976년 김일성대학을 졸업하고 주평양 몽골대사관에서 4년여를 근무했다. 1990년에는 한-몽 수교회담에 참여했고, 1992년 몽골국립대에 한국학과를 설립해 주임교수가 됐다. 1997~2003년, 2006~2009년 두 차례 한국대사관에서 영사로 근무하기도 했다. 단국대 몽골학과 객원교수를 지냈다.
-‘한반도 통일 지지 몽골 포럼’을 발족하려는 이유는
“해양세력인 한·미·일과 대륙세력인 북·중·러의 대립이 격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런 국제질서를 변화시키고자 한반도 통일·평화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다. 한반도와 동북아에 평화구조가 정착되면 몽골에도 대박이 나는 것이다. 이달 26일 공식 출범하는 이 포럼에는 몽골 사회단체·종교·문화·스포츠·언론인·학자 등 각계 각층이 참여하고 있다. 푼살마긴 오치르바트 전 대통령이 대표로 추대될 예정이다. 현재 참여 의사를 밝힌 이들이 2000여명 정도인데, 특히 젊은이들이 많다.”
-몽골이 이런 활동을 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가
“몽골은 한반도에 대한 전략적 이해관계도 없고 영향력 확대 의도도 없다. 몽골은 군사·정치 동맹에 가입하지도 않고 비교적 중립적인 외교를 하는 나라다. 이런 점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몽골에는 어떤 이익이 되나
“한반도가 통일되면 동북아가 경제적으로 더욱 도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몽골과 한반도가 철도로 연결될 수 있다. 기차로 울란바토르에서 서울까지 갈 수도 있고, 경제·문화적 교류도 더 활발해질 것이다. 지금은 한반도의 분단이 동북아 전체 발전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
-앞으로 어떤 활동을 준비하고 있나
“발족 후 남과 북의 민간·청년·학생 단체들을 몽골로 초청해 교류의 장을 마련하려 한다. 문화·예술·학계 등 그룹별로 교류 행사를 할 것이다. 남북 정부가 직접 못한다면 제3의 장소에서 민간기구들이 할 수 있는 역할들이 있지 않은가.”
-몽골의 국가 규모에 비해 외교적 노력이 활발하다.
“몽골은 약소국이다. 외교는 생존을 위한 필수 수단이다. 국내 정치에선 대립이 있지만 1991년 마련된 외교노선은 잘 계승되고 있는 듯하다. 외교적 일관성은 몽골이 아직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적대국을 만들면 위험해진다. 동북아의 핀란드나 스위스의 역할을 지향할 수밖에 없다.”
울란바토르/박영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