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는 지난 25일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체포돼 백인 경찰의 무릎에 목이 눌리면서 숨졌다. 이에 분노한 시민들의 시위가 미국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에서 백인 경찰의 가혹행위로 비무장 흑인 남성이 숨진 사건에 대한 항의 시위가 격화하면서 미국 내 한인 사회 피해도 늘어나고 있다.
외교부는 “미국 내 폭력 시위 사태와 관련 지금까지 총 26건의 한인 상점 재산 피해가 보고됐다”고 1일 밝혔다. 주별로는 미네소타 10건, 조지아 6건, 노스·사우스캐롤라이나 6건, 캘리포니아3건, 플로리다 1건 등이며, 아직 인명피해는 접수되지 않았다.
주미대사관을 포함한 미국 각 지역의 총영사관은 지난달 29일부터 누리집,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안전문자 등을 통해 시위 현장 접근 자제와 신변 안전에 유의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외교부는 “각 공관은 지역 한인단체 등과도 비상연락망을 유지하면서 피해 상황파악, 한인 밀집지역 법집행기관과의 치안 협력 강화 등 재외국민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이태호 2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재외국민보호대책본부를 설치했으며, 미국 주재 10개 공관도 비상대책반을 설치해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다각적인 조처를 할 예정이다. 2일에는 이태호 차관 주재로 미국 내 10개 공관장과 긴급 화상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을 논의한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