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각) 스페인 마드리드 이페마(IFEMA)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맹국·파트너국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윤석열 대통령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 기간 동안 대북 강경 대응 기조를 분명히 했다.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차별화된 대북 정책을 국제 무대에서 강조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29일(현지시각) 오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나토 동맹국·파트너국 정상회의 연설에서 “북한을 비핵화의 길로 끌어내기 위해서는 무모한 핵·미사일 개발 의지보다 국제사회의 비핵화 의지가 더 강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자유는 오직 힘으로 지켜진다는 평소 철학에 따라 확고한 안보 태세를 기반으로 가치와 뜻을 같이하는 국가끼리 힘을 모으자는 취지의 발언”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나토 동맹국 정상들 앞에서 약 3~4분 동안 진행한 이 연설에서 대북 압박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며 “한반도와 국제사회 평화안보에 중대한 도전”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한·미·일 3국 정상회의에서도 “북한 핵·미사일이 고도화되고 국제 정세의 불안정이 커진 상황에서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또한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 방안을 미국 정부와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자금원 차단을 위해 인물·기관에 대한 제재 확대에 적극적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새로운 형태의 대북 제재 방안에 관한 논의가 있었느냐’는 기자들의 물음에 “오늘 (회동에서) 논의되지는 않았다”면서도 “그러나 북한 인물과 기관에 대한 제재를 확대하겠다는 플랜이 준비돼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나머지 추가 제재는 군사 사항도 많고 여러 가지 보안 사항이라 한·미 간에 협의는 해놓았지만, 지금은 말씀드리기 곤란하다”고 말했다.
마드리드/김미나 기자
mina@hani.co.kr,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