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총사퇴 권고안이 당원 총투표에 부쳐진 4일 오후 정의당 국회 당대표실 문이 굳게 닫혀 있다. 연합뉴스
정의당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총사퇴 권고안이 당원 총투표에서 부결됐다. 대선과 지방선거 참패에 따른 당 쇄신책의 하나로 제안된 이번 권고안에 대해, 당원들이 정의당 위기 해결의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정의당은 4일 비례대표 국회의원 총사퇴 권고 여부를 묻는 당원 총투표를 지난달 31일부터 이날까지 닷새 동안 실시한 결과, 투표권을 가진 당원(당권자) 7560명(전체 당권자의 42.10%, 무효표 222표)이 투표한 가운데 2990명(40.75%)이 찬성, 4348명(59.25%)이 반대해 권고안이 부결됐다고 밝혔다. 총투표는 당권자의 20% 이상이 투표에 참여하고, 과반이 찬성해야 결과가 확정된다.
앞서 정호진 전 수석대변인은 지난달 7일 당원 1002명의 서명(유효 서명 937명)을 받아 지역구 의원인 심상정 의원을 뺀 비례대표 의원 5명(류호정·장혜영·강은미·배진교·이은미)의 사퇴를 권고하는 내용의 당원 총투표 발의 서명부를 당에 제출했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정의당 호감도가 20%대까지 주저앉고, 3만5960명(2020년 3월 기준)이던 당권자가 2년 만에 1만8185명(지난 7월 기준)으로 반토막 난 데에는 비례대표 의원들의 책임도 적지 않다는 게 사퇴론자들의 주장이다.
당원들은 18.50%포인트의 격차로 부결을 선택했다. 비례대표 의원들이 총사퇴해도 후순위 후보 5명이 의원직을 승계받아 근본적인 혁신이 될 수 없는데다, 위기에 대한 정확한 진단 없이 포괄적인 책임을 비례대표 의원 총사퇴 권고로 묻는 것이 오히려 혼란을 키울 수 있다는 반대 쪽 주장에 힘을 실어준 것이다. 정의당 관계자는 <한겨레>에 “오래된 위기가 누적됐다면 제대로 된 방법을 찾고 고민해야 하는데 총사퇴 (권고)라는 조급한 결론을 내린 결과”라고 말했다.
투표 부결 뒤 이동영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당은 이번 총투표 발의에 나섰던 당원들, 찬반 의사를 밝힌 모든 당원의 혁신과 재창당의 필요성, 당 지도부의 정치적 책임에 대한 엄중한 요구를 깊이 통감하고 무겁게 받아안겠다”고 말했다.
한편, 비례대표 의원들은 5일 합동 기자회견을 열어 권고안 부결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