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2일 오전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만나 ‘민심수습 방안’을 제안하기에 앞서 자리에 앉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야당 같은 ‘여당 의총’ 정부비판 봇물
“쇠고기 수습뒤 국정 쇄신” 초선의원 한목소리 성토
원희룡·남경필 등 소장파 “장관고시 강행은 소통 역행” 청와대와 한나라당 지도부가 친박 복당과 개각 등으로 정국수습책의 가닥을 잡은 가운데, 2일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 이와 달리 쇠고기 재협상 등 근본적 해결을 요구하는 목소리들이 터져나왔다.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인 권영진 의원은 이날 의총에서 “더 급한 쇠고기 문제를 먼저 수습한 뒤 국정쇄신으로 가야 한다”며 “내일 농식품부 장관의 고시 관보게재를 당장 유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청와대의 상황인식이 굉장히 안일하다”며 “정부가 재협상이든, 추가협상이든 국민들이 이해할 수 있는 대안을 내놔야 한다”고 재협상을 촉구했다. 김성태 의원은 “성난 민심에 무조건 석고대죄해야 한다”며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고쳐야 하고, 외교적 신인도가 걸리지 않으면 재협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석호 의원도 “쇠고기 문제는 첫 단추가 잘못 꿰어진 것”이라며 “30개월 이상 소는 수입을 못하게 부분 재협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상당수 초선 의원들이 자유발언을 통해 관보게재 중단과 재협상을 거론했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소장파의 선두주자격인 원희룡, 남경필 의원도 이날 오전부터 각종 인터뷰를 통해 재협상을 역설하고 나섰다. 원 의원은 <에스비에스> 라디오에 출연해 “국민의 안전을 위해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한 상태에서 장관 고시를 강행하겠다는 것은 소통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실질적인 쇠고기 재협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원 의원은 “사고는 정부서 치고 수습은 왜 당에서 하느냐. 지금의 시위진압 방식은 5공화국 때도 안통하던 것”이라며 정부의 대응 태도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남 의원도 <문화방송> 라디오에 나와 “쇠고기 고시를 (내일) 관보에 게재하는 것을 늦춰야 할 것”이라며 “재협상이든 추가협상이든 미국을 설득할 여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30개월 이상 된 쇠고기 수입을 어떻게 할 것이냐는 문제에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며 사실상 30개월 이상 쇠고기 수입 금지를 위한 재협상을 요구했다. 이들의 발언은 정부가 장관고시 관보게재를 강행할 경우 민심을 추스를 기회를 영영 잃어버린다는 위기감의 반영으로 풀이된다. 실제 미 쇠고기 협상결과는 관보 게재로 공식적 효력을 발휘한다. 이로써 다수 시민이 집회·시위를 통해 요구하는 재협상 요구를 수렴할 가능성도 크게 줄어든다. 한편 이날 의총에서 또 다른 의원들은 국정쇄신책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도 내용 면에선 당지도부와 청와대가 조율한 테두리에 머무는 모습도 보였다. 나경원 의원은 의총에 앞서 기자들에게 “관보 게재 연기나 쇠고기 재협상은 안되지만 대대적인 인적 쇄신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승근 이유주현 기자 skshin@hani.co.kr
원희룡·남경필 등 소장파 “장관고시 강행은 소통 역행” 청와대와 한나라당 지도부가 친박 복당과 개각 등으로 정국수습책의 가닥을 잡은 가운데, 2일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 이와 달리 쇠고기 재협상 등 근본적 해결을 요구하는 목소리들이 터져나왔다.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인 권영진 의원은 이날 의총에서 “더 급한 쇠고기 문제를 먼저 수습한 뒤 국정쇄신으로 가야 한다”며 “내일 농식품부 장관의 고시 관보게재를 당장 유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청와대의 상황인식이 굉장히 안일하다”며 “정부가 재협상이든, 추가협상이든 국민들이 이해할 수 있는 대안을 내놔야 한다”고 재협상을 촉구했다. 김성태 의원은 “성난 민심에 무조건 석고대죄해야 한다”며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고쳐야 하고, 외교적 신인도가 걸리지 않으면 재협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석호 의원도 “쇠고기 문제는 첫 단추가 잘못 꿰어진 것”이라며 “30개월 이상 소는 수입을 못하게 부분 재협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상당수 초선 의원들이 자유발언을 통해 관보게재 중단과 재협상을 거론했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소장파의 선두주자격인 원희룡, 남경필 의원도 이날 오전부터 각종 인터뷰를 통해 재협상을 역설하고 나섰다. 원 의원은 <에스비에스> 라디오에 출연해 “국민의 안전을 위해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한 상태에서 장관 고시를 강행하겠다는 것은 소통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실질적인 쇠고기 재협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원 의원은 “사고는 정부서 치고 수습은 왜 당에서 하느냐. 지금의 시위진압 방식은 5공화국 때도 안통하던 것”이라며 정부의 대응 태도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남 의원도 <문화방송> 라디오에 나와 “쇠고기 고시를 (내일) 관보에 게재하는 것을 늦춰야 할 것”이라며 “재협상이든 추가협상이든 미국을 설득할 여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30개월 이상 된 쇠고기 수입을 어떻게 할 것이냐는 문제에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며 사실상 30개월 이상 쇠고기 수입 금지를 위한 재협상을 요구했다. 이들의 발언은 정부가 장관고시 관보게재를 강행할 경우 민심을 추스를 기회를 영영 잃어버린다는 위기감의 반영으로 풀이된다. 실제 미 쇠고기 협상결과는 관보 게재로 공식적 효력을 발휘한다. 이로써 다수 시민이 집회·시위를 통해 요구하는 재협상 요구를 수렴할 가능성도 크게 줄어든다. 한편 이날 의총에서 또 다른 의원들은 국정쇄신책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도 내용 면에선 당지도부와 청와대가 조율한 테두리에 머무는 모습도 보였다. 나경원 의원은 의총에 앞서 기자들에게 “관보 게재 연기나 쇠고기 재협상은 안되지만 대대적인 인적 쇄신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승근 이유주현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