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최구식 의원 비서 공씨가 단독범행 주장”
누리꾼들 “탁치니 억하고 죽었다는 발표 생각나”
누리꾼들 “탁치니 억하고 죽었다는 발표 생각나”
10·26 재보선 당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박원순 후보 홈페이지 해킹 사건을 조사중인 경찰은 구속된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실 전 비서 공아무개씨에게서 이번 사건은 자신의 단독 범행이라고 자백만을 받아낸 채 윗선을 밝혀내지 못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8일 “공씨가 오늘 새벽 조사에서 심경을 바꿔 범행 사실을 자백했다”면서 “공씨는 자신 이외에 윗선이 없는 단독범행이라고 주장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공씨가 “한나라당 나경원 서울시장 후보를 돕는 것이 최구식 의원을 돕는 길이라고 생각했다”면서 “젊은층 투표율이 선거에 영향을 많이 줄 것으로 보고 투표소를 못 찾게 하면 투표율이 떨어지지 않겠나 생각했다”고 범행 배경을 설명했다.
공씨는 10월25일 밤 12시를 전후한 시점에 공격을 실행하라고 강아무개씨에게 전화로 지시한 이후 함께 술을 마시던 박희태 국회의장실 전 비서인 김아무개씨에게 이런 사실을 알렸다고 진술했다.
공씨는 이날 함께 룸살롱에서 술을 마시던 김씨를 룸밖으로 불러내 “선관위 홈피를 때리삐까예(때릴까요)?”라고 물었다고 경찰은 전했다.
이에 김씨는 “큰일 난다. 잡혀 들어간다. 네게 무슨 도움이 되지 않느냐”며 만류했다고 진술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공씨는 범행에 성공한 26일에도 김씨에게 전화를 해 이런 사실을 얘기했다고 진술했다.
공씨는 범행 사실을 부인한 데 대해 “얘기하면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가 갈 것을 걱정했다”고 설명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공씨의 범행 의도는 그날 저녁 술자리에서 형성됐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디도스 공격 실행범인) 강씨가 좀비피시를 동원해서 선관위를 다운시킬지 여부에 대해 테스트를 해봐야 하는데 좀비 피시를 준비하는 등 사전에 진지하게 준비한 과정이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공씨가 그때 술먹다가 머릿 속에 퍼뜩 떠올라 한번 해볼까 싶어서 김아무개씨를 룸밖으로 불러내 그런 이야기를 했다고 진술했다”고 덧붙였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범행 당일 공씨가 통화한 친구 차아무개씨를 대상으로 참고인 조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자백 내용이 신빙성 있는지 여러 정황과 맞는지 논리적인 판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트위터 등에서는 “류승완 감독님 어서 <부당거래 2>를 만드세요”(@oasis***) “1987년 박종철 고문사건 때 탁치니 억하고 죽었다는 발표가 생각난다”(@mindg***) 등 경찰 발표를 믿지 못하겠다는 반응이 잇따랐다. 또한 “경찰이 수사 열심히 해서 축하합니다. 공씨로부터 단독범행이라고 진술을 받아냈네요. 마음 졸이셨을텐데”(@shim9***) “그래서 니들은 수사권 내사권 모두 가질 자격이 없다”(@AHa***) 등 비아냥 섞인 반응도 눈에 띄었다. 디지털뉴스부 digital@hani.co.kr
경찰청 관계자는 “공씨의 범행 의도는 그날 저녁 술자리에서 형성됐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디도스 공격 실행범인) 강씨가 좀비피시를 동원해서 선관위를 다운시킬지 여부에 대해 테스트를 해봐야 하는데 좀비 피시를 준비하는 등 사전에 진지하게 준비한 과정이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공씨가 그때 술먹다가 머릿 속에 퍼뜩 떠올라 한번 해볼까 싶어서 김아무개씨를 룸밖으로 불러내 그런 이야기를 했다고 진술했다”고 덧붙였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범행 당일 공씨가 통화한 친구 차아무개씨를 대상으로 참고인 조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자백 내용이 신빙성 있는지 여러 정황과 맞는지 논리적인 판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트위터 등에서는 “류승완 감독님 어서 <부당거래 2>를 만드세요”(@oasis***) “1987년 박종철 고문사건 때 탁치니 억하고 죽었다는 발표가 생각난다”(@mindg***) 등 경찰 발표를 믿지 못하겠다는 반응이 잇따랐다. 또한 “경찰이 수사 열심히 해서 축하합니다. 공씨로부터 단독범행이라고 진술을 받아냈네요. 마음 졸이셨을텐데”(@shim9***) “그래서 니들은 수사권 내사권 모두 가질 자격이 없다”(@AHa***) 등 비아냥 섞인 반응도 눈에 띄었다. 디지털뉴스부 digital@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