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오른쪽 셋째)와 소속 의원들이 9일 오후 국회 예결위회의장에서 의원총회를 열어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의 사퇴와 방송법 처리 등을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갑질 황제외유 김기식을 즉각 구속하라”, “세월호 참사 당일 노래방 간 위선자 양승동은 사퇴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자유한국당은 9일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의원 시절인 2015년 5월 미국 등 국외출장을 갔을 때 수행한 이가 인턴 신분이었다며 ‘그 뒤 특혜 승진’ 의혹까지 제기했다. 김 원장이 전날 “당시 동행한 비서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산하 연구기관을 총괄 담당하는 정책비서”라고 해명한 데 대한 반박이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9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김 원장이 ‘황제외유’ 때 함께 간 여비서는 수행 당시 정책비서가 아닌 인턴 신분이었다”며 “업무 보좌는 보좌관(4급)·비서관(5급)이 일반적인데 정책보좌로 인턴을 데리고 간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해당 인턴은 출장 한달 뒤인) 6월18일 9급 비서로 국회사무처에 등록됐다. 또 6개월여 만인 2016년 2월10일에는 7급 비서로 승진임명 변경 등록됐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김 원장은 자료를 내어 “정무위원회 의원 시절 비서와 인턴을 구분하지 않고 소관부처별 담당자를 뒀다”고 해명했다. 금융위·공정위·경제부처 산하기관은 보좌관과 비서관이, 국무조정실·국가보훈처는 6급 비서가, 국민권익위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인턴 2명이 각각 나눠 맡는 체제였다는 것이다. 김 원장은 “결원이 생길 때마다 주로 내부 승진을 시켰고, 다른 인턴도 정식 비서로 승진했다”며 “마치 특혜를 주어 고속 승진시켰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날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 등 야3당은 김 원장 임명 철회를 촉구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국민의 기대와 눈높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은 겸허하게 받아들이나, 해임에 이를 정도로 심각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김의겸 대변인은 “조국 민정수석이 임종석 비서실장의 지시에 따라 4월6~9일 김 원장에 대한 일부 언론의 의혹 제기에 대해 확인한 결과, 의혹이 제기된 해외출장 건들은 모두 공적인 목적으로 이뤄진 것이며 적법하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이렇게 말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