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집단면역 회의론에 치료제 역할 다시 주목
바이러스의 침투력 원천은 돌기단백질 당 분자
수용체결합영역 떠받치는 당 분자가 핵심 물질
두 가지 렉틴(Clec4g, CD209c)이 세포진입 차단
바이러스의 침투력 원천은 돌기단백질 당 분자
수용체결합영역 떠받치는 당 분자가 핵심 물질
두 가지 렉틴(Clec4g, CD209c)이 세포진입 차단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기단백질(위)이 인간 세포 수용체(아래)에 결합하려는 순간, 돌기단백질에 달라붙은 빨간색 렉틴(Clec4g) 단백질이 수용체 결합을 차단한다. 위 바이러스에서 녹색이 돌기단백질, 노란색이 당 분자다. 아래 세포에선 파란색이 수용체 단백질, 보라색이 당분자다. ©IMP/IMBA Graphics 2021.
코로나19 바이러스 모형도. 표면에 솟아 있는 돌기(녹색)가 돌기단백질이다. 한 바이러스 입자에 24~40개의 돌기단백질이 있다. 픽사베이
포유류 세포의 렉틴에서 차단 물질 2종 확인 오스트리아과학원분자생명과학연구소(IMBA)가 주도하는 국제 연구진이 돌기단백질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당 분자와, 이를 공략하는 물질을 찾아내 분자생물학 분야 국제학술지 ‘엠보(EMBO) 저널’ 8월10일치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를 돌기단백질의 ‘아킬레스건’에 비유하며 범용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했다. 연구진이 찾아낸 것은 탄수화물의 특정 당 분자와 결합하는 성질이 있는 ‘렉틴’이란 이름의 단백질이다. 렉틴은 대부분의 생물체에 존재한다. 동물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렉틴은 세포 간 접착, 면역 방어, 세포 신호 전달 등 다양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를 이끈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요제프 페닝거(Josef Penninger) 생명과학연구소 소장은 보도자료에서 “렉틴의 특성으로 볼 때, 직관적으로 렉틴이 당으로 뒤덮인 돌기단백질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파트너를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코로나 돌기단백질의 당분자와 결합하는 렉틴을 확인하면 강력한 치료제 개발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포유동물의 세포 표면에 있는 140종 이상의 렉틴 단백질을 대상으로 일일이 시험했다. 그 결과 두 가지 렉틴(Clec4g, CD209c)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기단백질과 강력하게 결합한다는 걸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는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도구를 손에 넣었다는 걸 뜻한다”고 밝혔다. 공동 제1저자인 페닝거 연구실의 스테판 메레이터 연구원은 “이 메커니즘은 과학자들이 갈망해 온 ‘아킬레스건’일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돌기단백질의 당 분자들 위치도. 빨간색 타원이 렉틴이 결합하는 당 분자(N343)다. 돌기단백질의 세포수용체 결합 영역(RBD)을 감싸고 있는 물질이다. 사이언스 2020년 7월17일치(DOI: 10.1126/science.abb9983)
모든 변이체에 존재…범용 치료제로 연결될 수도 ‘양의 탈’에서 ‘아킬레스건’을 찾기까지는 렉틴과 돌기단백질 사이의 결합 강도와 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첨단기술의 덕을 봤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렉틴이 돌기단백질의 당분자 중에서도 ‘N343’과 결합한다는 걸 발견했다. 연구진은 “N343은 돌기단백질이 세포에 결합하는 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어떤 변이가 이뤄지더라도 손실되지 않는다”며 “만약 이 당 분자가 없다면 돌기단백질은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N343이 돌연변이된 바이러스는 감염성이 없다는 점은 이전의 다른 연구팀에서도 확인한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따라서 N343 당 분자가 없는 돌연변이가 발생할 가능성은 없다는 게 연구진의 논리적 추론이다. 연구진은 실제로 두 가지 렉틴이 인간 폐 세포의 감염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킨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는 이 두가지 렉틴을 이용한 치료제가 개발될 경우, 모든 변이에 통용되는 범용 치료제가 될 수 있다는 걸 뜻하는 것으로 연구진은 해석했다. 페닝거 교수팀은 현재 생체공학 기술로 만든 세포 수용체 단백질을 이용한 치료제 후보 물질을 개발해 임상시험을 하고 있다. 페닝거 교수는 “이는 바이러스가 세포로 들어가는 관문을 차단하는 약물”이라며 “이번 연구는 그 일을 할 수 있는 물질을 포유동물의 렉틴에서 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