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구 기온이 지금보다 1도만 상승해도 여름철에 북극 얼음이 완전히 사라질 확률이 28%나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은 9일 “수십개 기후 모형들을 고려해 확률 예측이 가능한 새로운 통계 기법을 개발해 적용해보니 산업혁명 이전 대비 기온이 2도 상승했을 때 9월 북극 빙하가 완전히 녹을 가능성이 28%에 이르는 것으로 계산됐다”고 밝혔다. 현재 전지구 지표기온은 산업혁명 이전보다 1도 이상 상승했다. 파리기후협약은 2015년 파리에서 190여개 국가가 모여 맺은 유엔기후변화협약으로, 전지구평균 지표기온 상승을 산업혁명 이전 대비 1.5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하며 적어도 2도 미만으로 유지한다는 합의를 담고 있다. 연구팀의 연구 결과로는 파리기후협약이 실현되더라고 북극 빙하 유실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는 셈이다. 북극 빙하는 1년 가운데 9월에 가장 많이 녹고 3월에 가장 커진다.
기초과학연구원 기후물리연구단 등 국제 공동연구팀 연구 결과 전지구 지표기온이 산업혁명 이전 대비 1.5도만 상승해도 북극 얼음이 사라질 확률이 6%에 이른다. 2도 상승하면 확률이 28%
기후물리연구단의 로만 올손·이준이 연구위원과 안순일 연세대(비가역적기후변화연구센터) 교수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전지구 기후 모형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통계 기법으로 북극 빙하가 사라질 가능성을 수치로 제시했다. 전지구 기후 모형은 과거 기후에 대한 물리적 이해를 토대로 미래 기후 변화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으로, 대기, 해양, 지면, 빙하 등 주요 요소들이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방대한 양의 수식으로 구성돼 있다. 기후 모형들은 서로 일부 수식을 공유하거나 같은 계산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호 의존적이다.
연구팀은 모형들의 의존성을 배제하고 현재 기후를 실제 관측과 유사하게 모의하는 모형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엄밀한 통계적 방법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미래 기후변화 확률 전망의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었다.
연구팀은 새로운 통계 기법을 31개 기후 모형에 적용하고 가장 높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가정한 시나리오(대표농도경로 8.5, RCP 8.5)를 입력했다. 그 결과 산업혁명 대비 전지구 평균기온이 1.5도에 이르면 9월 북극 해빙이 완전히 유실될 확률이 최소 6%에 이르며, 2도 상승에 이르면 확률이 28%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팀은 “이미 전지구 지표기온이 산업혁명 이전 대비 1도 이상 올랐고 현재 추세대로면 2040년께 1.5도 상승에 이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연구 결과는 지금보다 더욱 엄격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연구팀 논문은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일(현지시각)치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