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한국 재생에너지 발전비용, 내년부터 석탄보다 싸진다

등록 2020-11-29 16:18수정 2021-12-31 15:10

[우드 매킨지 아·태지역 재생에너지 보고서]
현 균등화발전비용은 석탄보다 25% 비싸
내년부터 역전…10년 뒤엔 30% 저렴 전망
국내 전기생산 1위는 여전히 석탄발전 차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전기생산 1위는 여전히 석탄화력발전이지만, 내년에 재생에너지 발전비용이 석탄화력발전보다 싸질 것으로 전망됐다.

국제에너지컨설팅회사인 우드 매킨지는 29일 발표한 ‘미래를 위한 전쟁 2020 : 아시아·태평양의 전력 및 재생에너지 경쟁력’ 보고서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재생에너지 비용은 2030년까지 석탄화력발전보다 23% 저렴해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특히 한국의 재생에너지 균등화발전비용(LCOE)은 현재 석탄화력발전보다 25% 비싸지만 내년에는 역전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른바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전통에너지 발전과 재생에너지 발전의 균등화발전비용이 같아지는 시점)에 도달한다는 얘기다. 또 2030년까지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용은 화석연료 발전 비용보다 30% 정도 싸질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균등화발전비용은 건설비, 연료비, 운영비 등 발생한 비용을 생산한 전력으로 나눠 구하는 발전단가와 달리 환경비용 등 사회적 비용을 포함해 계산한다. 발전시설의 건설에서 폐기까지 모든 비용을 반영하기 때문에 전력을 생산하는 에너지원 간 공평하게 비용을 비교할 수 있다.

리샵 쉬레스타 우드 매킨지 수석애널리스트는 “현재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인도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만 재생에너지 균등화발전비용이 신규 석탄화력발전보다 싸다. 하지만 이 지역에서 보조금 없는 재생에너지가 급성장해 2030년까지는 모든 국가에서 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 발전보다 싸질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는 2030년까지 56%나 싸져

현재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신규 석탄화력발전은 1메가와트시당 63달러로 가장 싼 에너지이지만, 인도의 신규 재생에너지 비용은 1메가와트시당 39달러에 불과하다. 인도의 경우 낮은 건설비용과 저렴한 노동력, 양질의 재생에너지원 등에 힘입어 2030년에는 신규 석탄화력발전 비용에 비해 재생에너지가 56% 싸질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한국과 일본 등 동북아시아 국가들은 비싼 노동력과 높은 환경비용, 토지 제한, 질 낮은 에너지원 등 때문에 재생에너지 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싸다. 보고서는 일본의 재생에너지 비용이 가장 비싸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용이 석탄화력발전보다 1%만 싸질 것으로 추산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와 대만은 30%, 중국은 40% 싸질 것으로 전망됐다.

우드 매킨지 보고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낮은 탄소가격(탄소 배출권 비용 등)이 영향을 끼친다. 지금은 탄소가격이 석탄과 가스 균등화발전비용을 4% 끌어올리고 있지만 2030년에는 두 배인 8%까지 인상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1톤당 30달러의 탄소가격이 매겨지면 신규 대규모 태양광 발전과 해상 풍력발전 비용은 각각 2023년과 2030년까지 석탄화력발전 비용보다 낮아질 것으로 분석됐는데, 이는 애초 예상되던 일정보다 5년 앞당겨지는 것이다.

코로나19로 1∼9월 전력생산 2.5% 줄어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전력 생산에서 석탄화력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력공사의 ‘9월 전력통계속보’를 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생산된 전력은 41만2397기가와트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줄었다. 코로나19 여파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 가운데 석탄화력발전이 생산한 전력량은 15만1959기가와트시로로 지난해 같은 기간 16만9738기가와트시에 비해 10.5% 줄었다. 하지만 석탄화력발전이 전체 전력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6.8%로, 여느 발전원보다 높았다.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생산량은 2만8123기가와트시로, 지난해 2만8847기가와트시보다 2.5% 줄었으며,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와 같은 6.8%였다.

원자력발전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증가한 11만7607기가와트시(전체 전력량의 28.5%)를 생산했으며,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은 0.2% 증가한 10만5049기가와트시(25.5%)를 생산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