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인간의 식량 탓…2050년이면 야생동물 90% 서식지 잃어”

등록 2020-12-25 10:15수정 2021-12-31 15:03

[이근영의 기상천외한 기후이야기]
인구 증가·식생활 변화 따른 농업 팽창 탓
1280종은 서식지 25% 이상 상실 전망
농업 팽창으로 2050년까지 서식지 일부라도 상실하는 야생동물이 90%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케냐 나이로비 시내를 배경으로 기린이 나이로비국립공원에 서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농업 팽창으로 2050년까지 서식지 일부라도 상실하는 야생동물이 90%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케냐 나이로비 시내를 배경으로 기린이 나이로비국립공원에 서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구 증가에 따른 농업 팽창으로 2050년까지 서식지를 일부라도 잃게 될 육상 야생동물이 90%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영국 리즈대와 옥스포드대 공동연구팀은 25일 <네이처 지속가능성>에 게재한 논문(DOI: 10.1038/s41893-020-00656-5)에서 “식량산업이 신속한 변혁을 꾀하고 사람들이 먹거리와 생산 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향후 몇십년 안에 광범위한 생물 다양성 상실을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전 지구를 1.5×1.5㎞(2.25㎢)의 격자로 세밀하게 나눠 식량 체계가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 분석했다. 연구 결과 세계 곡물생산 면적은 2010년에 비해 2050년에 26%(335만㎢)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웨스트아프리카, 리프트밸리(동아프리카 지구대), 사헬 남부 등 서브사하라 아프리카 지역의 농지 확장이 가장 클 것으로 분석됐고 중남미 지역이 뒤를 이었다. 반면 동유럽과 중앙아시아와 북부아시아(러시아 남부와 벨라루스 동부)에서는 인구 감소와 생산성 향상으로 경작지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또 이런 농업 팽창이 초래할 육상 야생동물 1만9859종(양서류 4003종, 조류 1만895종, 포유류 4961종)의 서식지 환경 변화도 예측했다. 분석 결과 2050년까지 전체 동물의 87.7%(1만7409종)가 일부 서식지를 잃을 것으로 예상됐다. 6.3%만이 변동 없고, 6.0%는 늘어날 것으로 나왔다.

특히 전체의 6.4%(1280종)는 25% 이상의 서식지를 상실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들 동물 가운데 980종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위기종으로 분류되지 않은 상태다. 347종은 서식지의 50%, 96종은 75%, 33종은 90%를 상실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들 가운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있는 경우는 각각 34%, 52%, 55%뿐이다.

“농업격차 해소 등 선제 대응하면 피해동물 2.6%로 줄어”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영국 리즈대의 데이비드 윌리엄스 교수는 “근본적인 변화 없이는 수백만㎢의 자연 서식지들이 2050년까지 사라질 것”이라며 “지구적 차원에서 자연을 살리려면 궁극적으로 우리가 먹는 것과 그것을 생산하는 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논문의 또 다른 주저자인 옥스포드대 미래식량연구소 및 공중보건학과의 마이클 클라크 연구원은 “새로운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특정 생물 종들을 구제하기 위한 규정을 마련하는 등 전통적인 보존방법들도 필요하지만, 농업 팽창 같은 생물 다양성에 대한 본질적인 위협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연구팀은 생물 다양성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전략으로 네 가지를 제시했다. 세계 식량 생산성 격차 해소, 건강 식단으로의 전환, 식량 낭비와 음식쓰레기 줄이기, 식량 생산과 서식지 보호 균형을 맞춘 전 지구적 농지 이용 계획 등이다. 연구팀은 네 가지 전략을 동시에 잘 결합해 추진하면 2050년까지 세계 농지는 2010년에 비해 340만㎢, 현재 상태가 유지됐을 때와 견줘 670만㎢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연구팀은 “선제 대응 전략이 실현되면 25% 이상의 서식지를 잃을 것으로 추정되는 동물이 1280종에서 33종(2.6%)으로 줄어들 것”이라며 “하지만 그런데도 대다수 종(81.6%)이 조금이라도 서식지 상실을 겪을 것이기에 기존의 생물 다양성 보존 활동도 지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박테리아 꽃부터 유성우 쇼까지…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1.

박테리아 꽃부터 유성우 쇼까지…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과학자가 본 계엄 실패 원인…신세대 장병이 ‘민주주의 살인’ 막았다 2.

과학자가 본 계엄 실패 원인…신세대 장병이 ‘민주주의 살인’ 막았다

100년마다 온다는 태양 슈퍼플레어…다음은 언제? 3.

100년마다 온다는 태양 슈퍼플레어…다음은 언제?

확 늙는다, 44살 그리고 60살 두 번의 고비 넘는 법 4.

확 늙는다, 44살 그리고 60살 두 번의 고비 넘는 법

“동물실험 대체하는 컴퓨터, 화학독성 예측 정확도 더 높아” 5.

“동물실험 대체하는 컴퓨터, 화학독성 예측 정확도 더 높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