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지난해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7% 감소…올해는?

등록 2021-03-04 00:59수정 2021-12-30 15:08

[이근영의 기상천외한 기후이야기]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봉쇄가 원인
한국도 1.2% 증가 → 6% 감소 선회
"규제 유지돼야 파리협정 목표 달성”
코로나19 봉쇄 정책으로 지난해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이 2019년보다 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픽사베이 제공(Queven 촬영)
코로나19 봉쇄 정책으로 지난해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이 2019년보다 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픽사베이 제공(Queven 촬영)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지난해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봉쇄 정책 덕에 2019년과 비교해 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세계 각국의 탄소 배출량을 추적하는 과학자그룹 ‘글로벌카본프로젝트’(GCP)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3일(현지시각) 과학저널 <네이처 기후변화>에 게재한 논문에서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세계 각국이 봉쇄 등 강력한 규제정책을 펼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례 없이 급감했다. 기후위기에 대처하려면 강력한 정책과 함께 국제적으로 이를 준수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DOI : 10.1038/s41558-021-01001-0)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대 환경과학부 코린느 르 케레 교수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글로벌카본프로젝트가 분석한 결과 지난해 연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19년보다 26억톤 줄어든 약 340억톤으로 집계됐다”고 말했다. 케레 교수는 “전년도보다 7%가 감소한 것으로 지금까지 가장 큰 폭의 감소세”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해 4월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최고 27%까지 감소하면서 연간 배출량도 7%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한 연구 결과들은 나왔지만, 구체적으로 실제 배출량의 감소를 계측한 연구 결과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가별 감소율, 기후 및 에너지 정책 수와 비례

국가별 감소 추세는 2015년 파리기후협정 적용을 달리해온 국가군 별로 다른 경향이 나타났다.

파리협정의 전신인 1997년 교토의정서에서 고소득 국가로 분류된 36개국(아넥스 비)은 2019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5%(125억톤)를 차지하고 있었다. 파리협정 이후 4년(2016∼2019년)동안 이들 국가는 앞선 5년(2011∼2015년)와 비교해 연평균 0.8%(1억톤)씩 감축하고 있었는데, 지난해에는 9%(12억톤)이나 감소했다. 이들 국가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원인으로는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의 대체(47%), 에너지 사용 줄이기(36%) 등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특히 국가별 감소폭과 기후 및 에너지 정책 수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강조했다.

한국이 포함된 99개 중위소득 국가들은 2019년 세계 이산화탄소의 51%(178억톤)를 배출했다. 중국이 세계 전체의 28%를 차지했다. 이들 국가군은 2005년과 비교할 때 2019년 배출량이 30%나 증가했지만, 최근 4년 동안은 연 0.8%(1억4천톤) 증가로 증가폭이 둔화됐다. 이는 앞선 5년에 비해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역시 기후변화 관련 법과 정책 수의 증가가 배출 감소의 전환을 이룬 요인으로 분석됐다. 이들 국가군에서는 지난해 연간 5%(8억톤)가 감소했다. 한국은 최근 4년 동안 연평균 1.2%의 증가를 보였지만 지난해에는 6%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79개의 저소득 국가들은 2019년 세계 이산화탄소의 14%(49억톤)만을 배출했다. 이들 국가의 최근 4년 동안 배출은 연간 4.5%(1억8천톤) 증가율을 보였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큰 폭으로 떨어져 9%(4억톤)나 감소했다.

“올해는 기후정책 향방에 따라 달라질 것”

최근 4년간 앞선 5년과 비교해 배출량이 감소됐던 64개국에서는 연평균 1억6천만톤이 감소했다. 반면 150개 국가에서는 연평균 3억7천만톤이 증가했다. 배출이 줄어든 국가들의 감소량도 파리협정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배출 감소량과 비교하면 10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대유행을 막기 위한 규제들이 지난해 이산화탄소 배출 7% 감소에 기여한 것은 맞지만 임시 규제들이 세계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화석연료 기반의 인프라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에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기조를 이어갈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말 유럽연합, 덴마크, 프랑스, 영국, 독일, 스위스 등은 화석연료 기반 산업을 제한하는 대규모 그린뉴딜 정책을 선언하고 나선 반면 미국과 중국 등 대부분 국가들의 투자는 여전히 화석연료에 집중돼 있다. 2008~2009년 세계 금융위기 때 감소했던 이산화탄소 배출은 2010년 경제 회복과 함께 원상회복됐다. 올해 역시 코로나19 대유행이 지속되고 기후정책에 의해 양상이 다를 수 있다. 하지만 경제 회복 정책 등에 의해 지난해 12월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증가했으며 강력한 규제로 줄어든 감소폭을 뛰어넘을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일부 연구에서는 중국의 지난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019년보다 더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박테리아 꽃부터 유성우 쇼까지…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1.

박테리아 꽃부터 유성우 쇼까지…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구글 웨이모 자율주행차, 내년 초 도쿄서 달린다 2.

구글 웨이모 자율주행차, 내년 초 도쿄서 달린다

혈액형 상관없이 수혈받나…A·B형, O형으로 바꾸는 효소 발견 3.

혈액형 상관없이 수혈받나…A·B형, O형으로 바꾸는 효소 발견

과학자가 본 계엄 실패 원인…신세대 장병이 ‘민주주의 살인’ 막았다 4.

과학자가 본 계엄 실패 원인…신세대 장병이 ‘민주주의 살인’ 막았다

유전자 편집의 윤리,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5.

유전자 편집의 윤리,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