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가뭄 끝에 봄비가 내린 5일 전남 함평군 대동면 한 밭에서 농민이 비를 맞으며 밭일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4일부터 이틀간 내린 비로 가뭄이 극심했던 광주·전남 지역의 숨통이 조금이나마 트였다.
7일 환경부는 가뭄 상황이 심각한 영산강·섬진강 유역에 평균 55㎜의 비가 내려 이 유역 댐(섬진강댐, 주암댐, 수어댐, 평림댐) 저수량이 총 1750만톤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비로 광주, 전남, 여수·광양 산업단지 등에 약 10일 동안 공급할 수 있는 물(주암댐, 수어댐 1410톤)이 확보됐다. 저수위 도달이 우려되는 섬진강댐 저수량은 330만톤 증가했고, 평림댐은 빗물 대부분이 건조했던 토양에 흡수돼 저수량이 10만톤만 늘었다. 환경부는 며칠 동안 댐에 물이 더 모이면 저수량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현재 가뭄 ‘심각’ 단계에 머물고 있는 네 곳 댐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오려면 더 많은 비 오는 날들이 필요하다. 환경부는 댐 저수량이 정상 수준을 회복하려면 주암댐은 140㎜, 섬진강댐은 470㎜, 평림댐은 240㎜ 정도의 비가 더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손옥주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영산강·섬진강 권역에 내린 반가운 봄비로 주암댐, 수어댐 등의 저수량이 다소 상승해 한숨을 돌렸다”며 “앞으로 댐 가뭄 상황이 완전히 해소될 때까지 용수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소윤 기자
y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