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도시의 평균기온 상승 경향과 폭염일 증가 추세가 대도시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소도시의 지속적인 성장이 폭염이라는 극한 현상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6일 기상청은 지난 48년간(1973∼2020년) 우리나라 30곳의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도시화 효과가 기온 상승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대상 지역은 서울 등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8곳, 청주 등 인구 30만 이상 중소도시 8곳, 제천 등 인구 10만 내외 비도시 14곳이다.
분석 결과를 보면, 48년간 중소도시, 대도시, 비도시 순으로 평균기온 상승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매 10년 당 평균기온 상승 경향은 중소도시 0.38도, 대도시 0.36도, 비도시 0.23도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전체 기온 상승치에 대한 도시화 효과는 중소도시가 29∼50%로 대도시(22∼47%)에 견줘 큰 것으로 추정됐다.
대도시, 중소도시, 비도시의 10년 당 평균기온 상승 추세, 폭염일 증가 추세. 기상청 제공.
중소도시의 평균기온 상승 경향과 도시화 효과가 대도시보다 큰 것은 중소도시의 성장 속도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도시의 인구 비율은 1990년대 후반 약 52%로 최고점을 기록한 뒤 다소 감소했지만, 중소도시의 인구 비율은 2010년대 후반에 약 31%로 최고점을 기록했다는 것이 기상청의 설명이다.
또한 같은 기간 폭염일 발생의 증가 추세도 중소도시에서 가장 뚜렷한 것으로 분석됐다. 매 10년당 폭염일은 중소도시에서 1.8일, 대도시에서 1.6일, 비도시에서 1.1일 증가했다. 폭염일은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이다.
기상관측소 간 직선거리가 50㎞ 이하인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폭염 발생 빈도 증가 경향을 비교한 경우에도 중소도시의 증가 추세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매 10년당 폭염일 수를 보면, 중소도시인 구미가 2.7일 증가해 인접 대도시인 대구의 2.2일 증가보다 폭이 더 컸다. 마찬가지로 청주(+1.7일)는 대전(+1.1일)보다, 포항(+1.1일)은 울산(+0.5) 보다 증가 추세가 더 뚜렷했다.
기민도 기자
ke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