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기온 최고 3.3도 올라
경칩, 19일이나 당겨야 할판
봄·겨울철 상승세 두드러져
경칩, 19일이나 당겨야 할판
봄·겨울철 상승세 두드러져
대동강 물이 풀리기도 전에 개구리가 겨울잠을 깨고 나온다?
지구 온난화가 한반도 기후와 생활상을 반영해온 우리나라 24절기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상청은 24절기의 기온 변화를 분석해보니, 최근 10년(1999~2008년) 동안에 24절기별 평균기온이 과거(1919~1948년)에 견줘 최고 3.3도 올랐다고 11일 밝혔다. 계절별로는 겨울철 최저기온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여름철 최고기온은 변화가 크게 없었다. 그 결과, 겨울철 및 봄철 절기의 최근 온도가 과거에 비해 상당히 높았다.
개구리가 동면에서 깨어나며 봄소식을 알린다는 경칩(3월6일)의 경우, 최근 10년(1999~2008년)간 평균온도가 4.0도로, 1919년부터 1948년까지 30년간 평균 온도(2.8도)에 비해 1.2도 상승했다. 최근 10년 동안 평균기온이 2.8도를 기록한 날은 3월6일보다 무려 19일 정도 앞섰다. 요즘 개구리들은 해방 전보다 19일 정도 겨울잠에서 먼저 깨어난다는 뜻이다. 대동강 물이 녹고 눈이 아니라 비가 내린다는 우수(2월19일)보다도 날짜상으로 앞선다.
물론 기온이 오른 탓에, 우수도 16일이나 앞당겨졌다. 또 최근 우수에는 과거와 달리 눈보다 비가 내리는 경우가 많았다.
밭갈이와 파종의 시기에 해당하는 절기인 청명(4월5일)과 망종(6월6일)은 과거보다 각각 보름 정도 빨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일년 중 가장 추운 절기인 소한(1월5일), 대한(1월20일)의 최근 평균 기온도 과거에 비해 2.0~2.8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올 들어 계속되고 있는 추위는 다소 이례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서리가 내리고 눈이 오는 등 겨울이 오는 절기는 과거에 비해 늦춰졌다. 최근 10년간 찬 이슬이 내린다는 한로(10월8일)의 온도가 과거에 도달하는 시기가 8일 늦춰졌다. 또 서리가 내리는 상강(10월23일)도 과거보다 6일이나 늦었다.
그러나 여름철(7∼9월 중순)에 해당하는 절기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은 대체로 변화가 없었다.
권은중 기자
권은중 기자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