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그린뉴딜’ 계획이 새로운 ‘전환’을 위한 전략 없이 기존 친환경 사업의 나열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그린뉴딜로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은 2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정부는 되레 그린뉴딜은 ‘온실가스 감축에 한정된 사업’이 아니라며 문제가 없다는 태도다. 실제로 그린뉴딜 계획 가운데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는 사업은 전체 210여개 중 91개에 그쳐 ‘무늬만 그린뉴딜’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16일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그린뉴딜 세부 사업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202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의 20.1%에 해당하는 1229만톤의 온실가스가 감축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4일 정부의 그린뉴딜 계획 발표에는 그린뉴딜 추진으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포함돼 있지 않아 비판을 산 바 있다.
정부가 계산한 감축량은 기존에 세워놓은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에 기초하고 있다. 한국의 2017년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7억910만톤으로, 세계 10위권의 높은 순위를 기록 중이다. 이에 2년 전, 정부는 2030년 총 온실가스 배출량을 5억3600만톤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로 단계적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 이때 정한 2024~2026년 배출량의 목표는 6억4800만톤으로 2017년 이후 6천만톤가량을 더 줄이기로 했다. 정부가 2025년까지 수십조원의 예산을 들이는 그린뉴딜을 추진하지만,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더 늘려 잡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린뉴딜로 인한 감축 효과는 애초 줄이기로 한 6천만톤 중 약 20%인 1230만톤가량에 그친다는 것이다.
더욱이 정부는 온실가스의 부문별 감축 효과는 상세히 공개하지 않았다. ‘어떻게 이런 수치가 나왔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조 장관은 “보고서에는 담지 않았지만 환경부(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감축 효과를 다 검토·분석했다”면서도 “그린뉴딜은 ‘환경도 경제도 살리기 위한 것’으로, 온실가스 감축 자체만으로 목표를 한정하는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수치를 제시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환경부는 그린뉴딜로 추진 중인 개별 사업 210여개 중 91개만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감축할 수 있는 온실가스 1230만톤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금융지원이나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 등 산업부 주관 사업이 568만톤(46.8%), 환경부 관련 사업이 300만톤(24.1%)이었다. 전체 그린뉴딜 사업비 예산(국비 42조원) 중 일부만이 감축 목적 사업에 쓰인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감축 목적의 사업도 있지만 기후위기 적응, 녹색산업 전환 등 경제적 목적의 사업도 있다”며 “감축 목표 상향 여부는 차기 엔디시(NDC·파리협정 모든 당사국이 5년마다 제출해야 하는 기후변화 대응 목표) 제출 시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분석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지언 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장은 “수십조원을 새로 투자하고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강화하지 않고 기존대로 유지하겠다는 건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간다”며 “감축 효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것은 그린뉴딜의 목표가 탈탄소 전환으로 명확히 설정되지 않은 탓”이라고 말했다. 이헌석 정의당 생태에너지본부장은 “정부 스스로 그린뉴딜이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크지 않음을 인정했다”고 짚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