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강원 강릉시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 절차를 밟고 있다. 강릉에서는 4일째 두 자릿수의 확진자가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29일로 수도권에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를 적용한 지 18일째가 됐고 비수도권에도 일괄 3단계를 적용한 지 사흘째가 됐지만, 4차 유행 확산세는 꺾이지 않고 있다. 자영업자 등의 고통이 커지는 상황에서 언제 방역 완화를 할 수 있을지 묻는 목소리에 방역당국은 연일 “4차 유행 이전 수준으로의 감소”가 1차 목표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 목표 자체가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9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674명이라고 밝혔다. 전날 역대 최다였던 1895명보다 221명 줄었으나, 1천명 이상 확진자는 23일째 이어지고 있다. 수도권 확진자는 지난 1주일(7월23~29일) 하루 평균 952.7명으로 전주(7월16~22일)의 983.9명에 견줘 소폭 하락세이다. 비수도권 확진자는 같은 기간 556.3명으로, 전주(442.7명)에 견줘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날 비수도권 확진자 수는 570명으로 국내 지역사회 감염 가운데 35%를 차지하면서 12일째 30%대를 웃돌고 있다.
지난 12일부터 수도권에 거리두기 4단계를 적용하고 비수도권에도 지난 27일부터 일괄 3단계를 적용하고 있지만 유행세가 좀처럼 반전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으면서 일각에선 전국에 일괄 4단계를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정부는 현행 거리두기의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좀 더 기다려 봐야 한다고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주부터 시행한 비수도권 일괄 3단계 조처의 효과는 하루 이틀 만에 나오지 않는다. 비수도권은 다음 주 후반부터 조처 이후 변화를 볼 수 있는 시기라고 판단한다”며 “조처 이후에 영향이 나타날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바로 전국 4단계 조처를 하자’는 건 합리적이지 않은 지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이번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거리두기의 1차 목표를 “4차 유행 이전 수준”이라고 거듭 밝히고 있다. 1차 목표가 달성되면 방역을 완화할 수도 있다는 시그널인데, 4차 유행이 시작한 지난 7일 직전의 확진자는 하루 700명대 정도였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거리두기의) 1차 목표는 4차 유행 이전 수준으로 도달해서 감소 추세가 유지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수도권 4단계 2주 연장과 비수도권 일괄 3단계 적용을 결정하며 설명했던 목표인 “수도권은 감소세로 반전, 비수도권은 확산 차단”보다 한 발 더 나간 것이다.
하지만 방역당국도 유행의 정점이 언제인지 확신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지금보다 확진자 규모를 절반 이하로 하향 안정화하는 건 적어도 수개월 이상 걸릴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예방의학)는 “유행 규모가 4차 유행 이전으로 돌아가는 건 정말 어렵고, 현실적이지 못한 목표라고 본다. 백신 접종률이 60~70%는 최소한 되어야 할 것”이라며 “8월 말까지 고위험군인 50대 접종이 완료되면 방역 완화를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짧게는 한 달 길게는 두 달 동안은 현재 상태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감염내과)는 “현재는 (1천명 이상) 네자릿수 확진자가 고착화되는 단계라고 생각한다. 수도권은 4단계이지만 다중이용시설이 밤 10시까지 운영하고 있어 효과가 반감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영준 팀장도 “4차 유행이 2~3차 유행과 다른 점은 숨은 감염자의 규모가 더 크고, 거리두기 강화에도 이동량 감소 속도가 더디며,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가 우세 변이가 된 것”이라며 “방역당국도 시간이 걸리고 쉽지 않은 싸움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훈 서혜미 기자
watchdo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