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서울역 중구임시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전 국민의 70%가 접종을 완료하는 오는 11월부터 정부가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으로의 방역체계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방역 실무진을 중심으로 단계적 일상 회복의 개념 정립과 위중증·치명률 중심의 방역관리 체계 구축 등의 기초 작업에 나섰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10월 말이 되면 전 국민의 70%가 완전 접종하게 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항체 형성 기간) 2주가 경과된 11월부터는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을 검토할 수 있는 상황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며 “(11월의) 방역 상황도 상당히 중요하고, 그런 점에서 이번 9월 방역 관리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날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10월 말부터는 위드 코로나 적용이 가능하다고 이해하면 되느냐”는 질의를 받고 “일단 검토가 가능한 전제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정 청장의 설명보다 다소 시기가 늦춰진 셈이다.
정부는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가기 위해 우선 개념 정립부터 필요하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위드 코로나’라는 용어 자체가 개념이 모호해서 상당히 심층적인 논의와 검토가 필요하다”며 “일부 전문가들의 주장을 보면, 예방접종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치명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제는 확진자 수 대신 사망자 수 중심으로 방역체계를 전환하고, 계절 독감 수준으로 관리하는 사회로 나가자는 주장을 하고 있다. 여기서 생략된 게 어느 정도의 사망자 수를 적정 수준으로 볼 것이냐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대본의 설명을 보면, 계절 독감으로 인한 사망자는 연간 2천~4천명 정도이고,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지난 18개월 동안 2300명 수준이다. 현재까지의 ‘단계적 일상 회복’ 용어대로라면, 현 수준의 코로나19 사망자 수보다 2~3배 정도는 감수할 수 있다고 보는 셈이다. 손 반장은 “하지만 국민인식조사에선 연간 1천명 이하의 사망자가 단계적 일상 회복을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이라는 답변이 나와 이런 상황에 대해 검토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영국 같은 경우에는 ‘위드 코로나’를 하며 연간 3만명 정도의 사망자를 감수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방역 당국 실무진을 중심으로 단계적 일상 회복의 개념 정립과 방역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실무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통령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총괄조정팀장은 이날 “방대본 내에 태스크포스(TF)와 같은 공식적인 조직이 따로 꾸려져 있지는 않지만 총괄조정팀을 중심으로 역학·진단 등 관련된 모든 팀이 협력해서 관련 내용을 세부 검토하고 있다”며 “개념을 정립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전환을 위한 지표나 여러 구체적 상황을 개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코로나19 확진자는 2050명으로 지난 1일 이후 다시 2천명대를 넘었다. 국내 발생 확진자 2014명 가운데 수도권 확진자 비율은 1476명(73.28%)이었다. 수도권 확진자 비율은 7월 중순부터 8월까지 50~60%대를 유지하다가, 지난달 31일 70.8%를 기록한 뒤 현재까지 70%를 넘나들고 있다. 실제로 지난 8월29일∼9월4일 한 주간 하루 평균 환자 수는 직전 주와 견줘봤을 때 비수도권은 12.6% 감소했지만, 수도권은 3.9% 증가하기도 했다.
서혜미 최하얀 김지훈 기자
h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