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서울 마포구 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를 찾은 한 어르신이 검사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이르면 다음주부터 60살 이상 독거노인 등에 대해 재택치료 초기 2∼3회 전화 건강상태 확인에 나선다. 1일 2회 고위험군 대상 건강 모니터링이 중단되면서 취약계층이 제때 진료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에 3주 만에 집중관리를 일부 재개한 것이다.
19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재택치료자의 신속 진료를 위한 대면진료 체계가 잘 작동하도록 ‘취약계층 재택치료 중점 보호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노인맞춤돌봄서비스·재가요양서비스 등 지역사회에서 돌봄·요양서비스를 받고 있다면, 전담 사회복지사와 생활지원사가 건강을 확인한다. 장기요양 재가급여 이용자에게는 해당 기관에서 매일 전화로 안부를 확인한다.
코로나19 재택치료 대상자로 분류된 60살 이상 독거노인과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노인 부부 등을 대상으론 보건소 전담반에서 재택치료 초기 2∼3회 전화로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필요하다면 방문 건강 관리나 대면진료를 진행한다. 역학조사 과정에서 보호자 동거 여부를 확인하고, 주민센터에서도 보건복지 서비스 대상 가운데 집중관리 대상을 파악하기로 했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일부 지자체에서는 방문보건팀·찾아가는 복지서비스팀이 있는데, 다른 지자체에서도 언제부터 가능한지 확인해 다음 주부터는 함께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달 1일 검체 채취자부터 60살 이상 등 재택치료자를 대상으로 의료기관에서 1일 2회 전화로 건강상태를 확인해온 집중관리군 체계를 폐지했다. 하지만 보호자가 없는 독거노인·노인부부 등 취약계층 확진자의 신속한 대면진료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자, 제도 변경 3주 만에 집중관리를 부분 재개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해서도 진료에 소외되지 않고 더욱 두텁게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며 “지자체에선 보건소 전담인력과 간호인력 등으로 구성된 재택치료 전담조직을 구성해 모니터링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야간이나 휴일 응급상황에 대비해 지자체·119구급대·응급실 간 협의체를 구성하고, 24시간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172곳(19일 기준) 운영상황을 상시 점검하기로 했다.
코로나19 확진 환자에게 검사·먹는 치료제 처방·대면진료까지 통합 제공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8일 기준 1만2곳이다. 전국 동네 병·의원 3곳 중 1곳은 원스톱 진료가 가능하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정부는 진료기관 주변 먹는 치료제 담당약국을 확대(18일 기준 2148개)하고 이달 중 감염 관리 매뉴얼을 배포할 예정이다. 또 인터넷에서 ‘코로나 진료’, ‘코로나 병원’ 등으로 검색했을 때 원스톱 진료기관이 먼저 나올 수 있도록 업계와 협의 중이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사망자 수는 83명으로, 5월7일(83명) 이후 104일 만에 80명대로 보고됐다. 지난달 23일부터 최근 4주간 주별 하루 평균 사망자 수는 23.9명→28.4명→44명→56.7명 등으로 증가 추세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21만6000명 정도 환자에 대비한 의료체계가 돼 있지만 21만명이 넘어서는 안 된다. 낮은 비율이지만 그만큼 돌아가시는 분이 많이 생기기 때문”이라며 “감당할 수 있는 최소한 환자를 유지하면서 고위험군 시설 대상 특별·표적화된 관리를 하는 게 바람직한 정책 방향”이라고 말했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