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이 전국에 있는 요양병원과 사회복지시설 입소자를 코로나19 고위험 집단으로 분류해, 우선적으로 진단검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들의 경우 증상 악화가 빠르게 진행돼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또 기저질환 여부 파악에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하기로 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4일 “어르신들은 기침 등의 증상이 특이한 것이 아니라 (코로나19 감염을) 의심하기 어려워, 갑자기 폐렴이 악화돼 사망하는 경향이 있다”며 “특히 집단생활을 하는 요양병원과 요양원, 사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의심환자를 조기에 인지해 검사하는 대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도 노인 등 고위험군은 발병 인지 자체가 늦다고 보고 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감염내과)는 “면역이 떨어진 분들은 감염됐더라도 열이나 기침, 가래 등 일반적인 반응이 잘 나타나지 않고 엑스레이상으로만 폐렴이 심하게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방대본은 이런 고위험군 선별을 집에서 입원 대기 중인 대구 지역 환자들에게도 적용 중이다. 정 본부장은 “나이가 가장 중요하고 그다음이 기저질환 유무다. 건강보험공단의 데이터를 협조받아 선별 분류 작업에 최대한 속도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3일 오후 1시 기준으로 자가격리 환자 가운데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이들이 215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사망자는 이날까지 35명으로, 대부분 고령층이거나 기저질환 보유자다. 보건당국이 파악한 위중 환자(인공호흡기 등 기계호흡 환자)는 27명, 중증 환자(산소마스크 이용 또는 38.5도 이상의 발열 환자)는 25명이다. 대구 지역 확진자가 4천명을 넘어서면서 병상 확보에 어려움을 겪자 대구시는 중증 환자 30여명을 경기도로 이송하기로 했다고 이날 밝혔다.
대구 외 지역에서도 환자 모니터링과 중증도 분류를 위한 시스템 도입에 나서고 있다.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책단은 입원 전부터 퇴원 뒤까지 확진자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전화·방문을 통해 보건소 직원 등이 건강 상태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분류 기준안을 마련해,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고 밝혔다. 대구 외에도 지역 감염이 본격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보건소와 병원이 환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해 병상 배정과 전원 등에서 혼선이 일지 않도록 하자는 취지다.
박수지 박다해 홍용덕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