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는 4일 “앞으로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오는 5일 사회적 거리두기의 종료 시한을 앞두고 연장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앙안전재난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을 찾는 가장 빠른 길”이라며 “방역과 의료전문가 의견과 지역사회 의견도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코로나19 발생 후 모든 국민이 참여한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해왔고 아이들의 개학을 위해 2주 전부터는 강도를 더욱 높인 결과 미국, 유럽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며 “국내 감염은 우리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고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는 크게 줄었다”고 평가했다.
정 총리는 그러나 “상황은 여전히 엄중하다”며 “유학생 등 해외유입 사례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고 국내 감염도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수 있는 수준까지는 이르지 못했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해외 상황이 갈수록 심각해져 전 세계 감염자는 순식간에 100만명을 넘어섰고 세계적 대유행이 언제까지 지속될 지 누구도 예측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정 총리는 “경제 활동에 지장을 받으면서 생계에 위협을 받는 분들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계속하는 것은 막대한 희생과 비용을 수반한다는 사실을 잘 안다”며 “하지만 지금은 절대 긴장을 풀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와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 등은 이날 오전 사회적 거리두기 등에 대한 중대본 회의를 진행한 뒤 오전 11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