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 위험이 아직 있는 가운데, 6일 오후 대구시 중구 서문시장은 모처럼 시장을 찾은 시민들로 분주 하다. 연합뉴스
6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47명을 기록해 46일 만에 50명 안쪽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경계심을 늦추기엔 이르다며 사회적 거리두기에 더 적극적으로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1차 시행 기간(3월22일~4월5일)에 오히려 시민들의 이동이 많아지자, 정부는 온라인 종교활동 지원 등 추가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신규 확진자 수가 50명 이하로 줄었으나, 주말이라 진단검사가 평소의 1만건 이상에서 6000건으로 줄어든 영향이 크다. 이 수치만으로 안심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국외 유입의 확산 가능성이 아직 있다. 감염 경로를 확인할 수 없는 5~10%의 확진자는, 지역사회에 방역당국이 파악하지 못하는 감염자가 존재한다는 뜻”이라며 “유럽이나 미국에서 보이는 폭발적인 지역사회 감염이 우리 사회에도 언제든 나타날 수 있는 엄중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방역당국은 이날 감염 재생산지수(감염자 한 명이 평균적으로 전파시키는 사람 수)를 1 이하로 떨어트리는 것을 또 다른 목표로 제시했다.
방역당국이 이렇게 긴장의 수위를 낮추지 않는 것은 지난 주말에만 시민들의 이동량이 50만명가량 증가하는 등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1차 시행 기간 동안 오히려 이동량이 2월말보다 30%나 늘었기 때문이다. 이날 중대본이 공개한 ‘서울 유동인구 시각화 자료’를 보면 지난 4일 명동, 강남역, 홍대 등 젊은 연령층이 많이 찾는 상업지구와 여의도, 한강변, 남산 인근 등 봄철 꽃놀이 지역에 방문 인원이 늘었다. 이날 서울에서 현장 예배를 진행한 교회는 1914곳으로 1주일 전(1817곳)보다 100곳가량 증가했다. 서울시는 오는 12일 부활절이 다가와 현장 예배가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온라인 예배를 지원하고 방역수칙을 위반한 시설에 대한 행정명령을 검토하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관리체계도 함께 강화해 방역수칙을 어기는 유흥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해선 행정지도, 행정명령 등의 조처를 취하고, 이를 위반하면 처벌한다고 밝혔다.
4월5일 서울시내 유동인구 변화 모습.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야외라고 해서 바이러스로부터 100% 안전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감염내과)는 2015년 미국 디즈니랜드에서 홍역 집단발병 사례가 나타난 점을 거론하며 “야외에서 확진되면 추적자 관리는 더욱 어렵다. 꼭 교회, 병원이 아니더라도 새로운 장소에서 언제든 환자 발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위반시설에 대한 행정명령 조치를 강력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감신 경북대병원 교수(예방의학)는 “처벌이나 제재만으론 한계가 있어 나와 남을 함께 지킨다는 생각으로 연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다해 노지원 채윤태 기자
doal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