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후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에서 시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6명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즉시 완화하는데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애초 19일까지로 예정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바로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하지 않고 일부 완화한 형태로 지속하기로 결정한 것은 이런 여론을 함께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지난 17∼18일 이틀 간 무작위로 추출한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36.7%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즉시 완화하는 방안에 동의했고, 63.3%가 반대했다. ‘즉시 완화’에 동의한 구체적인 이유는 “국민이 일상에서도 생활방역 수칙을 충분히 실천하고 있기 때문”이란 의견이 43.6%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 △확진자 수의 충분한 감소(19.6%) △경제가 너무 어려움(19.1%)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피로감(17.7%)이란 의견이 뒤를 이었다.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 즉시 완화에 반대한 응답자의 66.2%는 “백신·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언제든 재확산 될 수 있다”고 답했다. 또 △국내 신규 확진자가 여전히 많이 발생하고 있음(14.4%) △국외 확진자 발생현황 우려(13.3%) △생활방역 수칙에 대한 안내·교육기간 필요(6.2%)를 반대 이유로 선택했다. 아울러 즉시 완화에 반대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는 적정 시기를 조사한 결과 “확진자 수, 국제 상황, 백신·치료제 등을 고려한 방역 당국의 판단이 필요하며 기한을 특정할 수 없다”는 의견이 66.5%로 가장 높았다.
조사 대상자 전체에게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가 가장 시급한 영역’을 물은 결과 ‘초·중·고교 및 대학교’가 52.3%로 가장 높았고 △야외 활동 및 스포츠 시설(20.0%) △실내 활동 및 스포츠 시설(18.7%) △실내 좌석시설 및 숙박시설(9.0%) 등의 차례로 나타났다.
박다해 기자
doal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