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후 대전시 동구 가양동 대전가양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하교하고 있다. 대전시교육청은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동구 지역 유치원과 초등학교, 특수학교 등교를 2일부터 중지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대전 동구의 초등학교 한 학년에서 확진자 3명이 발생한 것과 관련해, 교육당국과 방역당국은 국내 첫 ‘교내 전파’로 결론 내리지 않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교내 전파가 ‘의심’되긴 하지만, 학교가 아닌 학원 등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됐을 수도 있어 아직 단정짓기는 이르다는 것이다. 정부의 이런 조심스러운 분위기는 그동안 ‘학교 안 전파’ 여부를 생활방역의 성패를 가늠하는 ‘리트머스 시험지’처럼 앞세워왔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교내 확산 사례가 없었다는 이유로 정부가 스스로 후한 방역 대응 점수를 줘왔던 만큼, 이번 대전 초등생 집단감염에 대해서는 특히 신중하게 접근하는 모습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지난 5월 초 코로나19 대응체계를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하고 등교 수업을 시작한 뒤 줄곧 학교 방역을 강조해왔다. 박능후 중대본 1차장은 5월7일 “생활 속 거리두기의 가장 큰 목표는 학교 방역이고, 학생들 등교 수업이 확대됐는데 학교 내 집단감염이나 확진 사례는 없다”며 생활 속 거리두기의 방역 관리가 “비교적 성공적”이라고 평가했다. 다음날 서울 용산구의 중경고등학교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도 “생활 속 거리두기의 성공은 학교 방역의 성공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대전 초등생 집단감염이 발생하자 대전시와 교육당국, 방역당국은 확진 학생 3명 간 전파경로를 꼼꼼히 살피고 있다. 1일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정례 브리핑에서 “교내 또는 교외 공간, 학원에서 이 학생들이 어떻게 같이 지냈는지 아직 면밀하게 조사되지 않았다”며 “학년 전체에 대한 전수검사와 역학조사를 마친 뒤에 결과를 종합해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조사 결과로는 지난달 29일 이 학교 5학년 ㄱ군이 가장 먼저 확진된 데 이어 이튿날엔 같은 반인 ㄴ군과, 같은 합기도 학원을 다닌 ㄷ군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다만 ㄱ군과 ㄴ군은 같은 반인데도 자리가 멀리 떨어져 있던데다 같은 학원에 다녔고, ㄱ군과 ㄷ군은 다른 반이긴 하지만 평소 서로 집에 놀러 가는 등 특히 가까운 사이라 ‘학교 밖 전파’ 가능성이 있다. 학교 내 전파 여부 확인과, 혹시 있을 수 있는 숨은 환자 발견을 위해 방역당국은 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전수검사를 하고 있다. 우선 진행된 5학년 학생과 담임교사 등의 검사에서는 122명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정은경 본부장은 “코로나19의 특징이 무증상 감염이기 때문에 학교 밖 감염이 학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언제든지 있고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교내에 환자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학교와 학생의 잘못은 아니니 이들을 비난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경기도 의정부 아파트 1개 동에서 주민 6명이 확진된 사례와 관련해서도, 감염경로를 둘러싼 의문이 커지고 있다. 확진자 6명은 세 가구에서 나왔는데, 가족들 간 접촉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돼 엘리베이터 등 공용 공간에서 전파됐을 가능성도 있다. 방역당국은 같은 동에 사는 주민 244명을 전수조사 중이다. 1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51명 늘어났다. 이 중 지역사회 감염자는 36명, 국외 유입 사례는 15명이다.
최하얀 최예린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