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21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코로나19 치료제 백신개발 범정부지원단 5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국제 백신 공동구매·배분 메커니즘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 참여와 개별 구매를 병행해 최소 국민 70%에게 접종할 수 있는 백신을 확보하기로 했다. 일단 모든 국민에게 접종할 수 있는 분량을 목표로 하되 여의치 않더라도 집단면역 형성이 가능한 수준까지는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21일 열린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범정부지원위)에서 이런 내용의 ‘코로나19 백신 도입 및 예방접종 전략’을 밝혔다. 범정부지원위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공동위원장으로 하고 관련 정부 부처와 민간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고 있다.
정부는 백신 확보를 위해 이달 말까지 코백스 퍼실리티에 본격 참여하기 위한 의향확인서를 제출하는 한편 이미 진행 중인 글로벌 백신 개발 선두 기업들과의 개별 협상에도 더욱 속도를 내기로 했다. 코백스 퍼실리티는 세계보건기구(WHO)·감염병혁신연합(CEPI)·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이 중심이 돼 코로나19 백신을 세계 인구의 20%까지 균등하게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백신 확보는 개발 동향 등을 고려해 2단계로 추진된다. 1단계로 예방접종 우선권장대상자 등을 고려해 1600만~2000만명 분량의 백신을 우선 확보하고, 추가로 필요한 물량은 위탁생산과 직접 수입 등을 통해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백신이 확보되더라도 즉각 접종하지 않고 코로나19 확산 상황, 선행 접종 사례와 부작용 여부 등을 지켜보면서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접종 시기를 결정하기로 했다. 백신 접종이 대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확보된 백신을 누구부터 접종할 것인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정부는 1단계로 보건의료인, 사회필수시설 종사자, 군인, 노인·기저질환자 등 건강취약계층에 우선 접종하고, 2단계로 성인과 아동 등에게 접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박능후 장관은 “코로나19를 극복하고 일상을 되찾기 위해서는 치료제와 백신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임상시험 비용 지원 등을 위한 추경예산의 신속한 집행 등을 통해 국산 치료제와 백신이 조속히 확보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