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지역의 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 등의 종사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일제 진단검사가 진행 중인 지난 20일 경기도 시흥시 포동시민운동장에 설치된 선별진료소에서 보건소 관계자들이 대상자들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요양병원·재활병원 확진자가 계속 늘면서, 22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다시 세자릿수로 증가했다. 집단감염이 더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코호트 격리 조처(동일집단 격리)를 시행했지만 정작 접촉자 분리 등의 조처가 늦어지면서 확진자가 늘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집계를 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21명이 나왔다. 이 가운데 국내 발생 확진자가 104명으로, 지난달 24일(110명) 이후 28일 만에 세자릿수로 늘었다. 부산 해뜨락요양병원 관련 확진자가 3명 더 나와 누적 84명(낮 12시 기준)으로 늘었고, 경기도 광주 에스아르시(SRC)재활병원 관련 20명이 추가 확진돼 누적 확진자가 106명에 이른다. 군포 의료기관, 안양 요양시설 관련 확진자도 25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을 받아 누적 26명으로 늘었다.
해뜨락요양병원 방역자문을 맡은 손현진 동아대 의대 교수(예방의학교실)는 “지난 14일 해뜨락요양병원 2층에서 확진자가 33명 나왔을 때, 2층 접촉자들만 바로 분리했어도 추가 감염은 크게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 설명을 종합하면, 이 요양병원은 지난 18일 확진자를 제외하고 2층에 남아 있던 18명의 환자를 주변 민간 요양병원으로 이송했다. 첫 확진자가 나온 지 5일 만이었다. 이어 20일 뒤늦게 1층에 있는 접촉자들을 2층으로 분산 배치했지만 다시 추가 확진자가 나왔다. 손 교수는 “민간 요양병원도 어렵게 공간을 확보했다”며 “돌봄과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 접촉자들을 격리할 수 있도록 감염병 전담병원을 추가 지정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간병인 한명이 많게는 수십명의 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 간병 체제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요양보호사 한명당 환자 2.5명을 돌보도록 법으로 정해져 있는 요양원과 달리 요양병원은 돌봄 종사자당 환자를 돌보는 기준이 없다. 요양병원 관계자는 “간병인이 부족하다 보니 한명이 20명을 돌보고, 한눈에 환자가 들어올 수 있도록 10인실 등 다인실로 배치할 수밖에 없어 감염에 취약하다”고 말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예방의학)는 “간병인을 개인이 고용하니까 병원에서 교육도 안 되고 검사를 받으면 해고되기 때문에 증상이 있어도 검사를 안 받는 경우가 많다”며 “병원에서 간호와 간병을 통합해 제공해주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