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거리두기 단계 올리되 손실보상 해야”

7일 오후 동대문구보건소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해 있다. 연합뉴스
3차 유행 땐 600명대 발생 9일 만에 1천명대 실제 3차 유행의 확산세가 거세지던 지난해 12월4일엔 확진자가 628명 발생한 뒤 9일 만에 1천명대를 넘어서기도 했다. 이날 기준 최근 일주일(1~7일)간 지역사회 일평균 확진자 수는 523.7명에 달해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전국 400~500명 이상) 상단선도 이미 넘어섰다. 특히 감염병은 유행이 거듭될수록 확진자 수 규모가 더 커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4차 유행의 확진자 수는 3차 유행보다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날도 교회, 운동시설, 학원, 콜센터 등에서 감염이 이어졌다. 기존 집단감염 가운데서는 이날 0시 기준 대전 동구 학원 관련 49명이 추가 확진돼 누적 확진자가 61명으로 늘었다. 6개 학교에 걸쳐 학생 42명이 감염된 상태다. 대전시는 8일부터 18일까지 사회적 거리 두기를 현재 1.5단계에서 2단계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허태정 대전시장과 설동호 대전시교육감, 송정애 대전경찰청장은 이날 오전 긴급회의를 열고 코로나19 확산을 신속하게 차단하기 위해 이렇게 결정했다. 이로써 비수도권에서 2단계로 단계를 격상한 광역자치단체는 부산과 대전 두 곳이 됐고, 기초자치단체는 경남 진주와 거제, 전북 전주와 완주, 전남 순천 등 5곳이 됐다. 수정교회와 집회 관련 사례에선 37명이 추가 확진돼 누적 확진자가 201명으로 늘었으며, 부산 유흥주점과 관련한 확진자는 12명이 추가돼 누적 302명이 됐다. 신규 집단감염 사례로는 울산 중구 콜센터와 관련해 지난 5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뒤 누적 확진자가 23명이 됐다. 서울 은평구 교회와 관련해선 지난 3일 첫 확진자가 생긴 뒤 누적 확진자가 12명으로 늘었다. 4차 유행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정부가 오는 9일 조정해 발표할 예정인 거리두기 단계(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를 상향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다만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피로감과 자영업자 생계 문제 등 때문에 방역당국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예방의학)는 “거리두기를 올리려면 이젠 어떤 손실보상을 할 건지도 같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감염내과)는 “거리두기 단계를 올리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어 보인다”면서도 “정부는 단계를 올리기보다는 핀셋 방역처럼 부분적으로 보완할 것 같다”고 말했다. 서혜미 김지훈 기자 h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